학사안내

물리교육전공

교과 과정 검색 조건
교과과정
학년/학기 이수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강의 실습(설계) 교과목개요
2/1학기 전선 4291037
수리탐구물리2 (Mathematical Physics 2)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1037
  • 교과목명 : 수리탐구물리2 (Mathematical Physics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물리학 전반을 학습하고 연구하는데 필요한 수학체계를 탐구하며, 물리학을 수학적으로 분석하여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 및 응용까지 확대한다. 수리탐구물리1 에 이어서 무한급수, 복소변수 함수, 미분방정식, Fourier 급수, Fourier 변환, 적분변환, 특수함수 등의 내용을 포함하여 다룬다.

    • English

      Explore the mathematical system needed to learn and study the whole of physics, analyze physics mathematically to understand concepts, apply, and extend itto applications. The repair search physics 1 includes the contents of infinite feedwater, the compound variable function, differential equation, the Fourier feedwater, the Fourier transform, integral transform, and the special func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물리학 전반을 학습하고 연구하는데 필요한 수학체계를 탐구하며, 물리학을 수학적으로 분석하여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 및 응용까지 확대한다. 수리탐구물리1 에 이어서 무한급수, 복소변수 함수, 미분방정식, Fourier 급수, Fourier 변환, 적분변환, 특수함수 등의 내용을 포함하여 다룬다.

  • English

    Explore the mathematical system needed to learn and study the whole of physics, analyze physics mathematically to understand concepts, apply, and extend itto applications. The repair search physics 1 includes the contents of infinite feedwater, the compound variable function, differential equation, the Fourier feedwater, the Fourier transform, integral transform, and the special function.

닫기
2/1학기 전선 4291045
역학탐구교육1 (Education Inquiry in Mechanics 1)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1045
  • 교과목명 : 역학탐구교육1 (Education Inquiry in Mechanics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에서는 예비 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 내용과 연계하여 일반물리학에서 배운 고전역학의 기본개념을 복습하고, 더 나아가서 대학 수준의 수학을 이용하여 고전 역학을 기술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익힌다. 역학탐구교육1에서는 뉴턴 역학, 진동, 3차원 운동의 기술 방법, 비관성계, 중력과 중심력,장등을 다룬다.

    • English

      In this course, as preservice teacher, will review the basic concepts of classical mechanics learned in general physics that related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Further they learn how to describe and understand classical mechanics using university-level mathematics. In Epidemiological Exploration Education 1 will deal with Newtonian mechanics, vibration, technical methods of three-dimensional motion, pessimism, gravity and center strength and tens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에서는 예비 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 내용과 연계하여 일반물리학에서 배운 고전역학의 기본개념을 복습하고, 더 나아가서 대학 수준의 수학을 이용하여 고전 역학을 기술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익힌다. 역학탐구교육1에서는 뉴턴 역학, 진동, 3차원 운동의 기술 방법, 비관성계, 중력과 중심력,장등을 다룬다.

  • English

    In this course, as preservice teacher, will review the basic concepts of classical mechanics learned in general physics that related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Further they learn how to describe and understand classical mechanics using university-level mathematics. In Epidemiological Exploration Education 1 will deal with Newtonian mechanics, vibration, technical methods of three-dimensional motion, pessimism, gravity and center strength and tension.

닫기
2/1학기 전선 4291051
현대물리학 (Modern Physics)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1051
  • 교과목명 : 현대물리학 (Modern Phys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현대물리학의 기본 개념들인 상대성 이론, 양자역학과 수소원자및 분자, 통계역학, 고체물리,핵물리 및 입자물리 등에 관한 핵심적인 주제를 다룬다. 물리학 전반에 대한 깊이있는 탐구를 한다.

    • English

      To address the key topics concerning basic concepts, which are the theory of relativity, quantum mechanics and the hydrogen atoms and molecules, statistical mechanics of modern physics, solid state physics, nuclear physics and particle physics that related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make an in-depth exploration of the whole of physic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현대물리학의 기본 개념들인 상대성 이론, 양자역학과 수소원자및 분자, 통계역학, 고체물리,핵물리 및 입자물리 등에 관한 핵심적인 주제를 다룬다. 물리학 전반에 대한 깊이있는 탐구를 한다.

  • English

    To address the key topics concerning basic concepts, which are the theory of relativity, quantum mechanics and the hydrogen atoms and molecules, statistical mechanics of modern physics, solid state physics, nuclear physics and particle physics that related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make an in-depth exploration of the whole of physics

닫기
2/1학기 전필 4291062
물리탐구현장실습 (Field Based in Physics Inquiry)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91062
  • 교과목명 : 물리탐구현장실습 (Field Based in Physics Inqui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물리교육에 필요한 현장 탐방과 탐방계획을 작성을 통하여 물리교육을 이해하고 탐구한다.또한 탐방 수행능력과 현장에서의 과학과 기본 물리개념및 응용에 관한 실제를 경험한다.

    • English

      Understand and explore physical education planning through field trips and exploration plans for physical education.Students' can have actual experience of the science and application of basic physical concepts in performance and site visits.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물리교육에 필요한 현장 탐방과 탐방계획을 작성을 통하여 물리교육을 이해하고 탐구한다.또한 탐방 수행능력과 현장에서의 과학과 기본 물리개념및 응용에 관한 실제를 경험한다.

  • English

    Understand and explore physical education planning through field trips and exploration plans for physical education.Students' can have actual experience of the science and application of basic physical concepts in performance and site visits.

닫기
2/2학기 전필 4291046
역학탐구교육2 (Education Inquiry in Mechanics 2)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91046
  • 교과목명 : 역학탐구교육2 (Education Inquiry in Mechanics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에서는 예비 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 내용과 연계하여 일반물리학에서 배운 고전역학의 기본개념을 복습하고, 더 나아가서 대학 수준의 수학을 이용하여 고전 역학을 기술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익힌다. 역학탐구교육2에서는 입자계 및 진동계의 동력학, 강체역학, 라그랑주역학 등을 공부한다.

    • English

      In this course, as a preservice teacher, will review the basic concepts of classical mechanics learned in general physics that related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Further they learn how to describe and understand classical mechanics using university-level mathematics. In Epidemiological Exploration Education 2, will study dynamology, rigid mechanics, Lagrange main mechanics, etc.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에서는 예비 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 내용과 연계하여 일반물리학에서 배운 고전역학의 기본개념을 복습하고, 더 나아가서 대학 수준의 수학을 이용하여 고전 역학을 기술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익힌다. 역학탐구교육2에서는 입자계 및 진동계의 동력학, 강체역학, 라그랑주역학 등을 공부한다.

  • English

    In this course, as a preservice teacher, will review the basic concepts of classical mechanics learned in general physics that related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Further they learn how to describe and understand classical mechanics using university-level mathematics. In Epidemiological Exploration Education 2, will study dynamology, rigid mechanics, Lagrange main mechanics, etc.

닫기
2/2학기 전필 4291052
물리교육실험 (Physics Education Experiments)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91052
  • 교과목명 : 물리교육실험 (Physics Education Experiments)
  • 학점-강의-실습(설계) : 2-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실험교육과 연계하여 물리현상이 실제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에 대한 기초 실험을 수행한다. 물리현상이 실제에서 어떻게이루어지는 지에 대한 전자실험을 수행한다. 물리교육에 대한 실험과 시범을 익힌다.

    • English

      As a preservice teacher, students will conduct a basic experiment on how the physical phenomena actually take place that related with secondary school experimental education. Electronic experiments are conducted on how physical phenomena are actually achieved; Learn experiments and demonstrations on physical education.

    닫기
2 0 4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실험교육과 연계하여 물리현상이 실제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에 대한 기초 실험을 수행한다. 물리현상이 실제에서 어떻게이루어지는 지에 대한 전자실험을 수행한다. 물리교육에 대한 실험과 시범을 익힌다.

  • English

    As a preservice teacher, students will conduct a basic experiment on how the physical phenomena actually take place that related with secondary school experimental education. Electronic experiments are conducted on how physical phenomena are actually achieved; Learn experiments and demonstrations on physical education.

닫기
2/2학기 전선 4291058
물리논리및논술 (Logic and Writing in Physics)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1058
  • 교과목명 : 물리논리및논술 (Logic and Writing in Phys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수업은 예비물리교사들이 과학적 논리를 이해하고, 논리적인 과학글쓰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강좌이다. 과학의 본성에 기인하여 과학적 논리의 철학적 근간을 이해하고, 의사소통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글쓰기 능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This class is for preservice physics teachers to understand scientific logic and foster logical scientific writing skills. Based on the nature of science, the goal is to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basis of scientific logic, and to increase efficient writing ability as a terms of communication.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이 수업은 예비물리교사들이 과학적 논리를 이해하고, 논리적인 과학글쓰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강좌이다. 과학의 본성에 기인하여 과학적 논리의 철학적 근간을 이해하고, 의사소통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글쓰기 능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This class is for preservice physics teachers to understand scientific logic and foster logical scientific writing skills. Based on the nature of science, the goal is to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basis of scientific logic, and to increase efficient writing ability as a terms of communication.

닫기
2/2학기 전선 4291059
수리탐구물리3 (Mathematical Physics 3)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1059
  • 교과목명 : 수리탐구물리3 (Mathematical Physics 3)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물리학 전반을 학습하고 연구하는데 필요한 수학체계를 탐구하며, 물리학을 수학적으로 분석하여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 및 응용까지 확대한다. 수리탐구물리2 에 이어서 복소변수 함수, 특수함수, 편미분 방정식, 변수분리 등을 학습한다.

    • English

      To study physics and the overall math system needed to explore, and to understand, adapt and, to understand the physics applications. Second in mathematical physics research, followed by complex variable function, learning special functions,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 isolation, etc.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물리학 전반을 학습하고 연구하는데 필요한 수학체계를 탐구하며, 물리학을 수학적으로 분석하여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 및 응용까지 확대한다. 수리탐구물리2 에 이어서 복소변수 함수, 특수함수, 편미분 방정식, 변수분리 등을 학습한다.

  • English

    To study physics and the overall math system needed to explore, and to understand, adapt and, to understand the physics applications. Second in mathematical physics research, followed by complex variable function, learning special functions,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 isolation, etc.

닫기
3/1학기 전선 4291006
전자기학탐구교육1 (Educational Inquiry in Electromagnetics 1)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1006
  • 교과목명 : 전자기학탐구교육1 (Educational Inquiry in Electromagnetics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고전 전자기학에 대하여 체계적인 접근을 통하여 정전기 및 정자기에 대한 물리적 특성과 법칙을 이해하고 중등 예비교로서 이를 응용하는 능력을 길러 전자기학에 대한 교수능력을 익힌다.

    • English

      Learn the teaching ability of electromagnetism by understand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laws of static electricity through systematic approach to classical electromagnetism. Develop the ability to apply this in secondary school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고전 전자기학에 대하여 체계적인 접근을 통하여 정전기 및 정자기에 대한 물리적 특성과 법칙을 이해하고 중등 예비교로서 이를 응용하는 능력을 길러 전자기학에 대한 교수능력을 익힌다.

  • English

    Learn the teaching ability of electromagnetism by understand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laws of static electricity through systematic approach to classical electromagnetism. Develop the ability to apply this in secondary schools.

닫기
3/1학기 전선 4291047
양자물리학1 (Quantum Mechanics 1)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1047
  • 교과목명 : 양자물리학1 (Quantum Mechanics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에서는 예비 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 내용과 연계하여 현대물리학에서 배운 양자역학의 기본 개념을 복습하고, 더 나아가서 대학 수준의 수학을 이용하여 양자 역학을 기술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익힌다. 양자물리학1에서는 불확정성 원리, 1차원, 3차원에서의 Schorodinger 방정식, 고유함수와 고유값문제, 파동 역학, 연산자등을 다룬다.

    • English

      In this course, as a preservice teacher, will review the basic concepts of classical mechanics learned in general physics that related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Further they learn how to describe and understand classical mechanics using university-level mathematics. In quantum physics 1 will learn with the principle of uncertainty, the Schorodinger equation in one-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the inherent function and the inherent value problem, the wave dynamics, the operator and so 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에서는 예비 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 내용과 연계하여 현대물리학에서 배운 양자역학의 기본 개념을 복습하고, 더 나아가서 대학 수준의 수학을 이용하여 양자 역학을 기술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익힌다. 양자물리학1에서는 불확정성 원리, 1차원, 3차원에서의 Schorodinger 방정식, 고유함수와 고유값문제, 파동 역학, 연산자등을 다룬다.

  • English

    In this course, as a preservice teacher, will review the basic concepts of classical mechanics learned in general physics that related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Further they learn how to describe and understand classical mechanics using university-level mathematics. In quantum physics 1 will learn with the principle of uncertainty, the Schorodinger equation in one-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the inherent function and the inherent value problem, the wave dynamics, the operator and so on.

닫기
3/1학기 전선 4291063
디지털기반물리실험 (Digital-Based Experiment for Physics Education)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1063
  • 교과목명 : 디지털기반물리실험 (Digital-Based Experiment for Physics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2-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물리 교육에 필요한 기본 실험을 이해하고 실험설계를 하며 실제실험및 시범을 수행하며 물리교육을 효과적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탐구실험을 한다.

    • English

      As a preservice teacher will understand basic experiments, design experiments, conduct actual experiments and demonstrations that related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s. Explore and experiment on how to effectively carry out physical education.

    닫기
2 0 4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물리 교육에 필요한 기본 실험을 이해하고 실험설계를 하며 실제실험및 시범을 수행하며 물리교육을 효과적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탐구실험을 한다.

  • English

    As a preservice teacher will understand basic experiments, design experiments, conduct actual experiments and demonstrations that related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s. Explore and experiment on how to effectively carry out physical education.

닫기
3/1학기 전필 4291064
물리교육론 (Theory of Physics Education)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91064
  • 교과목명 : 물리교육론 (Theory of Physics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물리교육론은 물리 교사를 위한 전문성을 계발하기 위한 과목이다. 학습자들은 예비 물리교사로 갖추어야 할 물리 교과교육학 지식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고 학교 현장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실습해 볼 것이다. 나아가 물리교육 연구자로서 교사가 갖추어야 할 과학교육연구 방법에 대한 기초를 마련한다.

    • English

      Theory of Physics Education is a subject that develops professionalism for physics teachers. Students will establish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physics pedagogy knowledge that prospective physics teachers should have and practice how to apply it to physics classes. Furthermore, it establishes the foundation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methods that teachers should have as physics education researcher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물리교육론은 물리 교사를 위한 전문성을 계발하기 위한 과목이다. 학습자들은 예비 물리교사로 갖추어야 할 물리 교과교육학 지식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고 학교 현장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실습해 볼 것이다. 나아가 물리교육 연구자로서 교사가 갖추어야 할 과학교육연구 방법에 대한 기초를 마련한다.

  • English

    Theory of Physics Education is a subject that develops professionalism for physics teachers. Students will establish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physics pedagogy knowledge that prospective physics teachers should have and practice how to apply it to physics classes. Furthermore, it establishes the foundation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methods that teachers should have as physics education researchers.

닫기
3/2학기 전필 4291010
전자기학탐구교육2 (Educational Inquiry in Electromagnetics 2)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91010
  • 교과목명 : 전자기학탐구교육2 (Educational Inquiry in Electromagnetics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고전 전자기학 에 대하여 체계적인 접근을 통하여 정전기, 정자기 및 전자기파와 에너지에 대한 물리적 특성과 법칙을 이해하고 이를 응용하며 전자기학에 대한 교육 능력을 익힌다.

    • English

      Understand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laws of static electricity, stat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energy related with the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and respect to the classical electrodynamics as teachers and applied it to boil and skills training for Electromagnetic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고전 전자기학 에 대하여 체계적인 접근을 통하여 정전기, 정자기 및 전자기파와 에너지에 대한 물리적 특성과 법칙을 이해하고 이를 응용하며 전자기학에 대한 교육 능력을 익힌다.

  • English

    Understand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laws of static electricity, stat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energy related with the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and respect to the classical electrodynamics as teachers and applied it to boil and skills training for Electromagnetics.

닫기
3/2학기 전필 4291044
물리교재연구및지도법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in Physics)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91044
  • 교과목명 : 물리교재연구및지도법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in Phys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물리 학습과 수업 및 교수의 의미와 특징 그리고 그것들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 과학의 학습지도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몇가지 방법 또는 전략을 기술하며. 학습이론, 수업이론, 평가이론, 교재론의 지식을 바탕으로 과학 교수-학습 방법과 교재를 이해하게 한다.

    • English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physics learning and teaching, as well as the recognize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it; Describe some methods or strategies that can be applied effectively to the learning guidance of science. Based on the knowledge of learning theory, class theory, evaluation theory, and teaching theory, to understand the teaching method and teaching material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물리 학습과 수업 및 교수의 의미와 특징 그리고 그것들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 과학의 학습지도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몇가지 방법 또는 전략을 기술하며. 학습이론, 수업이론, 평가이론, 교재론의 지식을 바탕으로 과학 교수-학습 방법과 교재를 이해하게 한다.

  • English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physics learning and teaching, as well as the recognize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it; Describe some methods or strategies that can be applied effectively to the learning guidance of science. Based on the knowledge of learning theory, class theory, evaluation theory, and teaching theory, to understand the teaching method and teaching materials.

닫기
3/2학기 전필 4291048
양자물리학2 (Quantum Mechanics 2)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91048
  • 교과목명 : 양자물리학2 (Quantum Mechanics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에서는 예비 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 내용과 연계하여 현대물리학에서 배운 양자역학의 기본 개념을 복습하고, 더 나아가서 대학 수준의 수학을 이용하여 양자 역학을 기술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익힌다. 양자물리학2에서는 3차원에서의 Schorodinger 방정식, 연산자의 행렬 표현, 스핀, 시간에 의존하는/하지 않는 건드림 이론, 수소 원자 등을 다룬다.

    • English

      In this course, as a preservice teacher, will review the basic concepts of classical mechanics learned in general physics that related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Further they learn how to describe and understand classical mechanics using university-level mathematic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에서는 예비 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 내용과 연계하여 현대물리학에서 배운 양자역학의 기본 개념을 복습하고, 더 나아가서 대학 수준의 수학을 이용하여 양자 역학을 기술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익힌다. 양자물리학2에서는 3차원에서의 Schorodinger 방정식, 연산자의 행렬 표현, 스핀, 시간에 의존하는/하지 않는 건드림 이론, 수소 원자 등을 다룬다.

  • English

    In this course, as a preservice teacher, will review the basic concepts of classical mechanics learned in general physics that related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Further they learn how to describe and understand classical mechanics using university-level mathematics.

닫기
3/2학기 전선 4291065
AI활용을위한디지털전산물리 (Digital Computational Physic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1065
  • 교과목명 : AI활용을위한디지털전산물리 (Digital Computational Physic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써 물리교육에 필요한 멀티미디어를 활용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멀티미디어를 이용한전산물리 교육자료를 개발한다. 또한 자료개발을 통하여 물리개념 및 지도에 대한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물리교수학습자료를 설계할 수 있다.

    • English

      As a preservice teacher, students will develop the ability to utilize multimedia needed for physical education and develop materials for electronic products using multimedia.In addition, through data development,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understanding of physical concepts and maps can be enhanced and effective physical teaching materials can be designed based on them.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써 물리교육에 필요한 멀티미디어를 활용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멀티미디어를 이용한전산물리 교육자료를 개발한다. 또한 자료개발을 통하여 물리개념 및 지도에 대한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물리교수학습자료를 설계할 수 있다.

  • English

    As a preservice teacher, students will develop the ability to utilize multimedia needed for physical education and develop materials for electronic products using multimedia.In addition, through data development,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understanding of physical concepts and maps can be enhanced and effective physical teaching materials can be designed based on them.

닫기
4/1학기 전선 4291040
물리교육연구 (Research on Physics Education)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1040
  • 교과목명 : 물리교육연구 (Research on Physics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장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성을 기르기 위하여 물리교과교육 이론을 정리하고 임용시험 문제풀이를 통해 실력을 점검한다. 또한 실제 수업활용 능력 점검 및 수업에서의 딜레마 일화를 바탕으로 한 물리교육의 이슈에 대해 토론한다.

    • English

      Organize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ory to raise the professionalism required of teachers and developing skills through problem solving exams. This course also discuss the issue of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 dilemma of anecdotes from real lesson literacy inspection and instruc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현장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성을 기르기 위하여 물리교과교육 이론을 정리하고 임용시험 문제풀이를 통해 실력을 점검한다. 또한 실제 수업활용 능력 점검 및 수업에서의 딜레마 일화를 바탕으로 한 물리교육의 이슈에 대해 토론한다.

  • English

    Organize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ory to raise the professionalism required of teachers and developing skills through problem solving exams. This course also discuss the issue of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 dilemma of anecdotes from real lesson literacy inspection and instruction.

닫기
4/1학기 전선 4291054
열및통계물리 (Thermal and Statistical Physics)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1054
  • 교과목명 : 열및통계물리 (Thermal and Statistical Phys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열현상에 대한 거시적 이해를 위한 열역학의 기본 개념과 열역학 법칙의 적용을 학습하고 미시적 이해를 위한 통계역학과 연결하여 열현상에 대한 통합적 이해와 적용을 익힌다.

    • English

      Students will study the basic concepts of thermodynamics and the application of thermodynamics law for the macroscopic understanding of thermal phenomena.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열현상에 대한 거시적 이해를 위한 열역학의 기본 개념과 열역학 법칙의 적용을 학습하고 미시적 이해를 위한 통계역학과 연결하여 열현상에 대한 통합적 이해와 적용을 익힌다.

  • English

    Students will study the basic concepts of thermodynamics and the application of thermodynamics law for the macroscopic understanding of thermal phenomena.

닫기
4/1학기 전선 4291055
파동및광학 (Wave and Optics)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1055
  • 교과목명 : 파동및광학 (Wave and Opt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전자기이론을이용하여빛의기본적인성질을공부하고,빛의반사굴절등의광선광학,렌즈거울광학기기등, 기하광학및응용, 간섭과 회절등의 파동광학, 양자역학적 측면의 빛의 성질등에관하여탐구한다. 그리고 맥놀이현상, 소리의 도플러 효과등 파동에 관해 요약 강의한다.

    • English

      Students will study the basic properties of light using electromagnetic theory, the light optics, reflection mirror optics, etc. Students will investigate geometrical optics and its applications, wave optics such as interference and diffraction, and quantum mechanical properties of light. Students will discuss the wave phenomenon, such as the phenomenon of play and the Doppler effect of soun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전자기이론을이용하여빛의기본적인성질을공부하고,빛의반사굴절등의광선광학,렌즈거울광학기기등, 기하광학및응용, 간섭과 회절등의 파동광학, 양자역학적 측면의 빛의 성질등에관하여탐구한다. 그리고 맥놀이현상, 소리의 도플러 효과등 파동에 관해 요약 강의한다.

  • English

    Students will study the basic properties of light using electromagnetic theory, the light optics, reflection mirror optics, etc. Students will investigate geometrical optics and its applications, wave optics such as interference and diffraction, and quantum mechanical properties of light. Students will discuss the wave phenomenon, such as the phenomenon of play and the Doppler effect of sound.

닫기
4/1학기 전선 4291057
물리교육연구동향과이슈 (Readings of Recent Physics Papers)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1057
  • 교과목명 : 물리교육연구동향과이슈 (Readings of Recent Physics Paper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물리교사로서 필요한 전문성의 요소 중 하나인 연구능력 함양을 위한 과목으로, 최근 물리교육 연구동향과 이슈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스스로 연구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을 함양한다.

    • English

      A course for cultivating one of the research capabilities of the elements of the expertise required as a physics teacher, to know a recent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trends and issues in physics education research based and cultivate the ability for own's research.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물리교사로서 필요한 전문성의 요소 중 하나인 연구능력 함양을 위한 과목으로, 최근 물리교육 연구동향과 이슈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스스로 연구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을 함양한다.

  • English

    A course for cultivating one of the research capabilities of the elements of the expertise required as a physics teacher, to know a recent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trends and issues in physics education research based and cultivate the ability for own's research.

닫기
4/1학기 전선 4291060
물리교육특강1 (Topics in Teaching Physics 1)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1060
  • 교과목명 : 물리교육특강1 (Topics in Teaching Physics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물리교사로서 물리개념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학부과정의 역학, 전자기학, 양자물리학 영역에 관한 핵심개념 정리를 실시한다. 이를 위해 핵심 내용을 리뷰하고, 물리 핵심 개념의 다양한 적용에 대하여 논의한다.

    • English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physics as a physical teacher, the organization of key concepts concerning the dynamics, electromagnetics, and quantum physics of the undergraduate course is implemented. To this end, the core content is reviewed and the various applications of the physical core concept are discussed.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물리교사로서 물리개념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학부과정의 역학, 전자기학, 양자물리학 영역에 관한 핵심개념 정리를 실시한다. 이를 위해 핵심 내용을 리뷰하고, 물리 핵심 개념의 다양한 적용에 대하여 논의한다.

  • English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physics as a physical teacher, the organization of key concepts concerning the dynamics, electromagnetics, and quantum physics of the undergraduate course is implemented. To this end, the core content is reviewed and the various applications of the physical core concept are discussed.

닫기
4/2학기 전선 4291022
물리학사 (History of Physics)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1022
  • 교과목명 : 물리학사 (History of Phys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물리학사의 발달과정과 과학철학적 접근을 이해하고, 이를 중등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탐색한다. 고대 물리, 갈릴레이 시대, 뉴턴시대, 광학, 열역학, 전자기, 현대물리 및 양자물리학등의 발달을 역사적 측면으로 공부하여 물리학의 흐름을 이해하며, 물리학사의 개념발달을 과학의 본성 측면에서 이해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물리오개념지도에 적용하여 물리교사로서 전문성을 기른다.

    • English

      Underst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physics history, scientific philosophical approach, that related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s for preservice teacher. Students explore ways to apply it in school. Students alo learn the development of ancient physics, Galileo times, Newtonian times, optics, thermodynamics, electromagnetic, modern physics. Quantum physics are studied in historical aspects to understand the flow of physics, and to understand the concept development of physics history in terms of the nature of science. Based on this, the medical institution develops expertise as a physical teacher by applying it to students' physics conceptual map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물리학사의 발달과정과 과학철학적 접근을 이해하고, 이를 중등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탐색한다. 고대 물리, 갈릴레이 시대, 뉴턴시대, 광학, 열역학, 전자기, 현대물리 및 양자물리학등의 발달을 역사적 측면으로 공부하여 물리학의 흐름을 이해하며, 물리학사의 개념발달을 과학의 본성 측면에서 이해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물리오개념지도에 적용하여 물리교사로서 전문성을 기른다.

  • English

    Underst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physics history, scientific philosophical approach, that related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s for preservice teacher. Students explore ways to apply it in school. Students alo learn the development of ancient physics, Galileo times, Newtonian times, optics, thermodynamics, electromagnetic, modern physics. Quantum physics are studied in historical aspects to understand the flow of physics, and to understand the concept development of physics history in terms of the nature of science. Based on this, the medical institution develops expertise as a physical teacher by applying it to students' physics conceptual maps.

닫기
4/2학기 전선 4291053
물리탐구자료개발 (Physics Instructional Material Development)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1053
  • 교과목명 : 물리탐구자료개발 (Physics Instructional Material Development)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중등 물리 교과서의 다양한 탐구활동과 관련된 학습자료를 개발할 수 있는 기본 지식과 이론을 학습하고 이를 통하여 실제로 물리학 지도에 관련된 활동에 사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한다. 개발된 자료를 실제로 과학체험마당 등을 통해 다양한 계층의 학생들에게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

    • English

      Develop basic knowledge and theories of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various exploratory activities in secondary physics textbooks; Develop teaching learning materials that can actually be used for activities related to physics maps. The developed data are actually applied to students of various classes through the science experience yard and the results are analyze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중등 물리 교과서의 다양한 탐구활동과 관련된 학습자료를 개발할 수 있는 기본 지식과 이론을 학습하고 이를 통하여 실제로 물리학 지도에 관련된 활동에 사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한다. 개발된 자료를 실제로 과학체험마당 등을 통해 다양한 계층의 학생들에게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

  • English

    Develop basic knowledge and theories of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various exploratory activities in secondary physics textbooks; Develop teaching learning materials that can actually be used for activities related to physics maps. The developed data are actually applied to students of various classes through the science experience yard and the results are analyzed.

닫기
4/2학기 전선 4291061
물리교육특강2 (Topics in Teaching Physics 2)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1061
  • 교과목명 : 물리교육특강2 (Topics in Teaching Physics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물리교사로서 물리개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임용시험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하여, 학부과정의 열통계물리, 파동및광학, 물리 교육 영역에 관한 핵심개념 정리 및 문제풀이를 실시한다. 이를 위해 동료끼리 팀별 협동학습을 실시하며, 핵심 내용을 리뷰하고 정리하여 토론하고, 문제풀이 중심으로 접근한다.

    • English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physics concept and to prepare for the employment examination as physics teacher. The key concepts concerning the field of thermal statistics, wave and optics in undergraduate study. To this end, students conducted a study using team collaboration and core contents are reviewed, organized, and the focused on problem solving.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물리교사로서 물리개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임용시험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하여, 학부과정의 열통계물리, 파동및광학, 물리 교육 영역에 관한 핵심개념 정리 및 문제풀이를 실시한다. 이를 위해 동료끼리 팀별 협동학습을 실시하며, 핵심 내용을 리뷰하고 정리하여 토론하고, 문제풀이 중심으로 접근한다.

  • English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physics concept and to prepare for the employment examination as physics teacher. The key concepts concerning the field of thermal statistics, wave and optics in undergraduate study. To this end, students conducted a study using team collaboration and core contents are reviewed, organized, and the focused on problem solving.

닫기
  • 국문

  • English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