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안내

화학교육전공

교과 과정 검색 조건
교과과정
학년/학기 이수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강의 실습(설계) 교과목개요
2/1학기 전선 4292057
유기화학 (Organic Chemistry)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2057
  • 교과목명 : 유기화학 (Organic Chemist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은 생명현상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유기 물질 화학의 기본 원리를 배우고, 작용기들의 특성을 이용한 유기화학반응의 대표적인 치환 반응, 첨가 반응, 제거 반응을 이해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이 반응들을 이용하여 유기합성법을 터득하고 분자 개념의 분자 궤도함수 이론도 고찰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예비 화학 교사로서 역량을 갖추도록 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learn the basic principles of organic substance chemistry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life phenomena, and to understand typical substitution, addition, and elimination reactions of organic chemical reaction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groups. Furthermore, these reactions are used to learn the organic synthesis method and the molecular orbital theory of molecular concept is also discussed. This will equip students as competent chemistry teacher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은 생명현상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유기 물질 화학의 기본 원리를 배우고, 작용기들의 특성을 이용한 유기화학반응의 대표적인 치환 반응, 첨가 반응, 제거 반응을 이해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이 반응들을 이용하여 유기합성법을 터득하고 분자 개념의 분자 궤도함수 이론도 고찰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예비 화학 교사로서 역량을 갖추도록 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learn the basic principles of organic substance chemistry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life phenomena, and to understand typical substitution, addition, and elimination reactions of organic chemical reaction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groups. Furthermore, these reactions are used to learn the organic synthesis method and the molecular orbital theory of molecular concept is also discussed. This will equip students as competent chemistry teachers.

닫기
2/1학기 전선 4292058
유기화학실험 (Organic Chemistry Laboratory)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2058
  • 교과목명 : 유기화학실험 (Organic Chemistry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2-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기초적인 유기화학 실험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초자 기구 사용방법을 익히고 유기화합물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이해하도록 한다. 유기화학 강의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을 실험을 통하여 보다 확실하게 이해하고 화학적 현상을 체계화하고 합성에 응용할 수 있는 방법을 체득하도록 한다. 유기화합물의 독성에 대한 지식을 축적하도록 한다.

    • English

      The basic organic chemistry experiment i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The preservice teacher learn how to use superconductor and understand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Through the experiment, the theoretical knowledge of organic chemistry studied in the lecture can be clearly understood. Also, the students can understand the chemical phenomena and method for the synthesis.

    닫기
2 0 4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기초적인 유기화학 실험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초자 기구 사용방법을 익히고 유기화합물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이해하도록 한다. 유기화학 강의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을 실험을 통하여 보다 확실하게 이해하고 화학적 현상을 체계화하고 합성에 응용할 수 있는 방법을 체득하도록 한다. 유기화합물의 독성에 대한 지식을 축적하도록 한다.

  • English

    The basic organic chemistry experiment i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The preservice teacher learn how to use superconductor and understand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Through the experiment, the theoretical knowledge of organic chemistry studied in the lecture can be clearly understood. Also, the students can understand the chemical phenomena and method for the synthesis.

닫기
2/1학기 전선 4292063
분석화학 (Analytical Chemistry)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2063
  • 교과목명 : 분석화학 (Analytical Chemist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화학의 한 분야인 분석화학의 원리를 심도 있게 이해하고, 이를 화학 및 화학과 관련되는 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이번 학기에는 기초적인 분석의 원리인 평형, 산염기, EDTA의 적정에 대하여 학습한다. 예비교사로서 교과내용학적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구체적인 수업 내용은 표시과목 <화학>의 교사자격 기준과 평가 영역 및 평가내용 요소와 연계하여 구성되었으며, 교원임용기출문제를 활용하여 연습문제 풀이를 실시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develop in-depth understanding about the principle of analytical chemistry and apply the knowledge to the other chemistry field. This includes learning about equilibrium, acid-base, EDTA titration. In order to have special expertise in the curriculum for the preservice teacher, the specific content of the class is organized related to the teacher qualification criteria and assessmen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화학의 한 분야인 분석화학의 원리를 심도 있게 이해하고, 이를 화학 및 화학과 관련되는 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이번 학기에는 기초적인 분석의 원리인 평형, 산염기, EDTA의 적정에 대하여 학습한다. 예비교사로서 교과내용학적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구체적인 수업 내용은 표시과목 <화학>의 교사자격 기준과 평가 영역 및 평가내용 요소와 연계하여 구성되었으며, 교원임용기출문제를 활용하여 연습문제 풀이를 실시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develop in-depth understanding about the principle of analytical chemistry and apply the knowledge to the other chemistry field. This includes learning about equilibrium, acid-base, EDTA titration. In order to have special expertise in the curriculum for the preservice teacher, the specific content of the class is organized related to the teacher qualification criteria and assessment.

닫기
2/1학기 전선 4292071
화학교육론 (Theory of Chemistry Education)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2071
  • 교과목명 : 화학교육론 (Theory of Chemistry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화학교육론은 화학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이론을 배우는 과목이다. 예비화학교사들은 중등학교 화학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구성주의 학습이론과 과학의 본성, 화학교육과정의 변천에 대해 학습한다. 예비 화학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화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고 이를 화학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습한다.

    • English

      The theory of chemistry education is a subject that learns theories to teach chemistry effectively.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learn about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the nature of science, and the changes in the chemistry curriculum that can be applied to secondary school chemistry education. In addition, they prepare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chemistr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at they must have as a pre-service chemistry teacher and practice how they can be applied to chemistry class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화학교육론은 화학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이론을 배우는 과목이다. 예비화학교사들은 중등학교 화학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구성주의 학습이론과 과학의 본성, 화학교육과정의 변천에 대해 학습한다. 예비 화학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화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고 이를 화학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습한다.

  • English

    The theory of chemistry education is a subject that learns theories to teach chemistry effectively.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learn about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the nature of science, and the changes in the chemistry curriculum that can be applied to secondary school chemistry education. In addition, they prepare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chemistr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at they must have as a pre-service chemistry teacher and practice how they can be applied to chemistry classes.

닫기
2/2학기 전선 4292039
화학교육실험연구 (Educational Research on Chemistry Laboratory)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2039
  • 교과목명 : 화학교육실험연구 (Educational Research on Chemistry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의 중등 실험 지도 역량을 배양하는 것이다. 이 강좌는 교과서에서 나오는 실험의 수행, 문제점 개선, 소규모 실험이나 컴푸터 기반 실험 등 최신의 학교 실험 방법의 수행 등으로 구성된다. 더 나아가 특정한 개념의 이해나 탐구를 위한 효과적인 실험을 고안해 본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foster the ability of the preservice teachers to guide secondary school experiments . The course consists of conducting experiments from textbooks, improving problems, and carrying out the latest methods of school experiments, such as small-scale or computer-based experiments. Furthermore, they devise effective experiments for understanding or exploring specific concepts.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의 중등 실험 지도 역량을 배양하는 것이다. 이 강좌는 교과서에서 나오는 실험의 수행, 문제점 개선, 소규모 실험이나 컴푸터 기반 실험 등 최신의 학교 실험 방법의 수행 등으로 구성된다. 더 나아가 특정한 개념의 이해나 탐구를 위한 효과적인 실험을 고안해 본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foster the ability of the preservice teachers to guide secondary school experiments . The course consists of conducting experiments from textbooks, improving problems, and carrying out the latest methods of school experiments, such as small-scale or computer-based experiments. Furthermore, they devise effective experiments for understanding or exploring specific concepts.

닫기
2/2학기 전선 4292055
물리화학1 (Physical Chemistry 1)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2055
  • 교과목명 : 물리화학1 (Physical Chemistry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에서는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양자 역학적 관점에서 개개 원자와 분자의 구조와 성질에 관하여 이해한다. 양자론의 원리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미세 알갱이들의 성질을 기술한다. 또한 원자의 전자 구조, 즉 원자핵 주위의 전자 배치를 설명하는데 양자역학이 어떻게 이용되는지 배운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provide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atom and molecules in the quantum mechanical field to the preservice teachers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ary school chemistry. The principle of quantum theory are describ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fine particles. Students learn how quantum mechanics are used to describe electronic structure of atom and electron configuration around nucleu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에서는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양자 역학적 관점에서 개개 원자와 분자의 구조와 성질에 관하여 이해한다. 양자론의 원리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미세 알갱이들의 성질을 기술한다. 또한 원자의 전자 구조, 즉 원자핵 주위의 전자 배치를 설명하는데 양자역학이 어떻게 이용되는지 배운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provide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atom and molecules in the quantum mechanical field to the preservice teachers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ary school chemistry. The principle of quantum theory are describ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fine particles. Students learn how quantum mechanics are used to describe electronic structure of atom and electron configuration around nucleus.

닫기
2/2학기 전필 4292059
고급유기화학 (Advanced Organic Chemistry)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92059
  • 교과목명 : 고급유기화학 (Advanced Organic Chemist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유기화학의 기초부분과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유기화학반응을 배운다. 유기화학반응이 일어나는 분자내 작용기의 특성과 분자구조가 가지는 특성을 체계적으로 구성하여 유기화학반응의 특성과 메카니즘을 고찰한다. 실생활에서 만나게 되는 유기화합물들이 우리의 건강과 삶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도 고찰한다. 유기화합물의 합성에 필요한 합성법을 배우고 응용력을 함양하여 역합성분석력을 키운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learn the organic chemical reactions based on the basic principles of organic chemistry. The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 of organic chemical reaction are considered by systematically organizing the characteristic of molecular structure. Also, how organic compounds which encountered in daily life can affect health and life is learned in this course. The synthesis method for organic compounds synthesis is learned as well to develop the practical abilit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유기화학의 기초부분과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유기화학반응을 배운다. 유기화학반응이 일어나는 분자내 작용기의 특성과 분자구조가 가지는 특성을 체계적으로 구성하여 유기화학반응의 특성과 메카니즘을 고찰한다. 실생활에서 만나게 되는 유기화합물들이 우리의 건강과 삶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도 고찰한다. 유기화합물의 합성에 필요한 합성법을 배우고 응용력을 함양하여 역합성분석력을 키운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learn the organic chemical reactions based on the basic principles of organic chemistry. The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 of organic chemical reaction are considered by systematically organizing the characteristic of molecular structure. Also, how organic compounds which encountered in daily life can affect health and life is learned in this course. The synthesis method for organic compounds synthesis is learned as well to develop the practical ability.

닫기
2/2학기 전선 4292064
분석화학실험 (Analytical Chemistry Laboratory)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2064
  • 교과목명 : 분석화학실험 (Analytical Chemistry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2-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기초적인 분석기기와 실험 도구에 대한 사용법 등을 익히고, 이론에서 배운 산염기 평형, 침전 평형, 착물 평형의 원리를 바탕으로 실험을 통해 정량 분석을 실시해 본다.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 중등학교 실험을 설계할 수 있도록 실험 내용을 구성하였다. 또한 실험을 통해 중등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는 탐구 실험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learn the basic analysis and the use of experimental equipments through the experiments of the acid-based equilibrium, precipitation equilibria, and equilibrium constant. Preservice teacher is expected to understand the content in secondary school and able to design the experiment for students. Preservice teacher also can improve the ability to guide secondary school students for doing experiment.

    닫기
2 0 4 상세보기
  • 국문

    기초적인 분석기기와 실험 도구에 대한 사용법 등을 익히고, 이론에서 배운 산염기 평형, 침전 평형, 착물 평형의 원리를 바탕으로 실험을 통해 정량 분석을 실시해 본다.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 중등학교 실험을 설계할 수 있도록 실험 내용을 구성하였다. 또한 실험을 통해 중등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는 탐구 실험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learn the basic analysis and the use of experimental equipments through the experiments of the acid-based equilibrium, precipitation equilibria, and equilibrium constant. Preservice teacher is expected to understand the content in secondary school and able to design the experiment for students. Preservice teacher also can improve the ability to guide secondary school students for doing experiment.

닫기
2/2학기 전선 4292072
화학교육현장실습1 (Practical Survey in Chemistry Education1)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2072
  • 교과목명 : 화학교육현장실습1 (Practical Survey in Chemistry Education1)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화학지식이 실제 산업 및 연구현장에서 어떻게 이용되는지를 현장실습을 통하여 이해, 체험토록 한다. 예비교사로서 과학탐방을 과학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how chemical knowledge is used in actual industrial and research fields through field training. As a preliminary teacher, students develop the ability to use science exploration in science education.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화학지식이 실제 산업 및 연구현장에서 어떻게 이용되는지를 현장실습을 통하여 이해, 체험토록 한다. 예비교사로서 과학탐방을 과학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how chemical knowledge is used in actual industrial and research fields through field training. As a preliminary teacher, students develop the ability to use science exploration in science education.

닫기
3/1학기 전필 4292056
물리화학2 (Physical Chemistry 2)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92056
  • 교과목명 : 물리화학2 (Physical Chemistry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분자의 구조를 알기 위해 회전 및 진동에 관한 분광학과 전자전이에 관한 분광학을 배운다. 이로써 양자역학의 이론과 분광학의 실험적 접근을 연계시킬 수 있다. 또한 분자상태를 이용하여 열역학적 개념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통계열역학을 통해 배운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molecules using the spectroscopic theories of the rotational, vibrational, and electronic transition. This links the theory of quantum mechanics with the experimental approach of spectroscopy. This course also provides how to develop thermodynamic concepts using molecular states in statistical thermodynamic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분자의 구조를 알기 위해 회전 및 진동에 관한 분광학과 전자전이에 관한 분광학을 배운다. 이로써 양자역학의 이론과 분광학의 실험적 접근을 연계시킬 수 있다. 또한 분자상태를 이용하여 열역학적 개념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통계열역학을 통해 배운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molecules using the spectroscopic theories of the rotational, vibrational, and electronic transition. This links the theory of quantum mechanics with the experimental approach of spectroscopy. This course also provides how to develop thermodynamic concepts using molecular states in statistical thermodynamics.

닫기
3/1학기 전선 4292060
물리화학실험 (Physics Chemistry Laboratory)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2060
  • 교과목명 : 물리화학실험 (Physics Chemistry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2-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물리화학에서 다루는 기본원리나 법칙들을 실제 실험을 통해 응용하고 확인해본다. 중고등학교의 교과서 실험을 선택하여 실제로 수행해보고 개선점을 탐구해본다. 각종 최신 장비들을사용해보고, 스스로의 탐구실험을 통해 탐구 지도 능력을 함양하여 예비화학교사로서 전문성을 갖춘다.

    • English

      This course provides the basic principles or laws in the physical chemistry through real experiments. Students select secondary school textbook experiments to conduct and explore improvements. Students will use the latest equipment and develop their own exploratory teaching skills through their own exploratory experiments.

    닫기
2 0 4 상세보기
  • 국문

    물리화학에서 다루는 기본원리나 법칙들을 실제 실험을 통해 응용하고 확인해본다. 중고등학교의 교과서 실험을 선택하여 실제로 수행해보고 개선점을 탐구해본다. 각종 최신 장비들을사용해보고, 스스로의 탐구실험을 통해 탐구 지도 능력을 함양하여 예비화학교사로서 전문성을 갖춘다.

  • English

    This course provides the basic principles or laws in the physical chemistry through real experiments. Students select secondary school textbook experiments to conduct and explore improvements. Students will use the latest equipment and develop their own exploratory teaching skills through their own exploratory experiments.

닫기
3/1학기 전선 4292062
무기화학 (Inorganic Chemistry)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2062
  • 교과목명 : 무기화학 (Inorganic Chemist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화학 예비교사로서 무기화학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무기화합물의 반응성, 물리화학적 특징등을 설명 할 수 있다.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군론 및 대칭성 원자가 결합 이론 및 분자 궤도 함수 이론 그리고 이온 결합에 대해서 무기화학적 관점에서 접근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basic concept of inorganic chemistry and explain the reactivity of inorganic compounds such as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lso, the theory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 in secondary school such as symmetriy of atomic orbitals, valence bond and molecular orbital theory, and ionic bonding in the field of inorganic chemistr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화학 예비교사로서 무기화학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무기화합물의 반응성, 물리화학적 특징등을 설명 할 수 있다.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군론 및 대칭성 원자가 결합 이론 및 분자 궤도 함수 이론 그리고 이온 결합에 대해서 무기화학적 관점에서 접근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basic concept of inorganic chemistry and explain the reactivity of inorganic compounds such as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lso, the theory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 in secondary school such as symmetriy of atomic orbitals, valence bond and molecular orbital theory, and ionic bonding in the field of inorganic chemistry.

닫기
3/1학기 전필 4292066
기기분석 (Instrumental Analysis)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92066
  • 교과목명 : 기기분석 (Instrumental Analysi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은 예비교사로서 화학의 한 분야인 분석화학의 원리를 심도 있게 이해하고, 이를 화학 및 화학과 관련되는 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이번 학기에는 산화환원의 적정 대하여 학습하고, 전기화학의 원리 및 분광학 기기,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원리를 학습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develop in-depth understanding about the principle of analytical chemistry and apply the knowledge to the other chemistry field. This includes learning about oxidation-reduction, principle of electrochemical and spectrocopic devices and chromatograph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은 예비교사로서 화학의 한 분야인 분석화학의 원리를 심도 있게 이해하고, 이를 화학 및 화학과 관련되는 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이번 학기에는 산화환원의 적정 대하여 학습하고, 전기화학의 원리 및 분광학 기기,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원리를 학습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develop in-depth understanding about the principle of analytical chemistry and apply the knowledge to the other chemistry field. This includes learning about oxidation-reduction, principle of electrochemical and spectrocopic devices and chromatography.

닫기
3/2학기 전선 4292020
고급물리화학 (Advanced Physical Chemistry)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2020
  • 교과목명 : 고급물리화학 (Advanced Physical Chemist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에서는 열역학의 기본 법칙들을 익히고 열역학이 물리 변화와 화학 반응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고찰한다.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열역학이 화학 평형과 어떻게 관계 되는지 배우며, 이 과정에서 수학적인 유도 과정을 살펴본다.

    • English

      This course provides the basic laws of thermodynamics and examines how they apply to physical changes and chemical reactions. As a preservice teacher, students learn how thermodynamics are related to chemical equilibrium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content and look at the mathematical derivation proces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에서는 열역학의 기본 법칙들을 익히고 열역학이 물리 변화와 화학 반응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고찰한다.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열역학이 화학 평형과 어떻게 관계 되는지 배우며, 이 과정에서 수학적인 유도 과정을 살펴본다.

  • English

    This course provides the basic laws of thermodynamics and examines how they apply to physical changes and chemical reactions. As a preservice teacher, students learn how thermodynamics are related to chemical equilibrium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content and look at the mathematical derivation process.

닫기
3/2학기 전선 4292052
화학교재연구및지도법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in Chemistry)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2052
  • 교과목명 : 화학교재연구및지도법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in Chemist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은 과학 및 화학 교육에 대한 기본 개념이나 기초 이론을 이미 습득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화학 내용을 어떻게 재구성하여 중,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가르칠 것인가를 다룬다. 전반적인 교육과정의 변천과정 속에서 우리나라의 화학교육과정에 대하여 학습하고, 화학수업을 위한 다양한 수업 모형과 교수법에 대하여 학습하고 적용해본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과통합 교육과정> 운영 능력을 향상시킨다.

    • English

      This course is intended for the students who have already mastered the basic concepts or basic theories of science and chemistry education, how to reconstruct specific chemistry content and teach it effectively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learn the chemistry education in Korea and apply various teaching models and methods for chemistry classes. Students will improve the operational capability (Integrated education curriculum) presented in the revised 2015 curriculum.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은 과학 및 화학 교육에 대한 기본 개념이나 기초 이론을 이미 습득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화학 내용을 어떻게 재구성하여 중,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가르칠 것인가를 다룬다. 전반적인 교육과정의 변천과정 속에서 우리나라의 화학교육과정에 대하여 학습하고, 화학수업을 위한 다양한 수업 모형과 교수법에 대하여 학습하고 적용해본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과통합 교육과정> 운영 능력을 향상시킨다.

  • English

    This course is intended for the students who have already mastered the basic concepts or basic theories of science and chemistry education, how to reconstruct specific chemistry content and teach it effectively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learn the chemistry education in Korea and apply various teaching models and methods for chemistry classes. Students will improve the operational capability (Integrated education curriculum) presented in the revised 2015 curriculum.

닫기
3/2학기 전필 4292065
배위화학 (Coordination Chemistry)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92065
  • 교과목명 : 배위화학 (Coordination Chemist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중 산과 염기 및 금속의 성질등과 연계하여 배위 화학의 기본개념을 익히며 이를 설명 할 수 있다. 이 강좌는 무기화학1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므로 무기화학의 기본적인 지식을 가진 학생들이 여러가지이론들을 접하여 무기화학의 전체적인경향성을 이해하도록한다. 또한 무기화학의 기본 이론인 분자구조와 반응성, 고체상태 산/염기에 전반적으로 다룬다.

    • English

      Through this course, the preservice teacher can learn the nature of acid and base as well as metal properties related to the chemistry concept for teaching in the secondary school. The class is designed for students who have enrolled the course of Inorganic Chemistry 1, thus the students who have the basic knowledge of inorganic chemistry can have learn other various theories for understanding the overall inorganic chemistry. The basic theory of inorganic chemistry such as molecular structure, reactivity, acid/base are also studied in this cours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중 산과 염기 및 금속의 성질등과 연계하여 배위 화학의 기본개념을 익히며 이를 설명 할 수 있다. 이 강좌는 무기화학1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므로 무기화학의 기본적인 지식을 가진 학생들이 여러가지이론들을 접하여 무기화학의 전체적인경향성을 이해하도록한다. 또한 무기화학의 기본 이론인 분자구조와 반응성, 고체상태 산/염기에 전반적으로 다룬다.

  • English

    Through this course, the preservice teacher can learn the nature of acid and base as well as metal properties related to the chemistry concept for teaching in the secondary school. The class is designed for students who have enrolled the course of Inorganic Chemistry 1, thus the students who have the basic knowledge of inorganic chemistry can have learn other various theories for understanding the overall inorganic chemistry. The basic theory of inorganic chemistry such as molecular structure, reactivity, acid/base are also studied in this course.

닫기
3/2학기 전선 4292067
무기화학실험 (Inorganic Chemistry Laboratory)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2067
  • 교과목명 : 무기화학실험 (Inorganic Chemistry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2-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무기화학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무기화합물의 반응성, 물리화학적특징등을 설명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해서 각종 실험기구 의 취급및 실험에 대한 안전을 숙지하고 이를 해결 할 수 있다.

    • English

      Through this course, the prospective teacher can learn the nature of acid and base as well as metal properties related to the chemistry concept for teaching in the secondary school. The class is designed for students who have enrolled the course of Inorganic Chemistry 1, thus the students who have the basic knowledge of inorganic chemistry can have learn other various theories for understanding the overall inorganic chemistry. The basic theory of inorganic chemistry such as molecular structure, reactivity, acid/base are also studied in this course.

    닫기
2 0 4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무기화학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무기화합물의 반응성, 물리화학적특징등을 설명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해서 각종 실험기구 의 취급및 실험에 대한 안전을 숙지하고 이를 해결 할 수 있다.

  • English

    Through this course, the prospective teacher can learn the nature of acid and base as well as metal properties related to the chemistry concept for teaching in the secondary school. The class is designed for students who have enrolled the course of Inorganic Chemistry 1, thus the students who have the basic knowledge of inorganic chemistry can have learn other various theories for understanding the overall inorganic chemistry. The basic theory of inorganic chemistry such as molecular structure, reactivity, acid/base are also studied in this course.

닫기
3/2학기 전선 4292073
화학교육현장실습2 (Practical Survey in Chemistry Education2)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2073
  • 교과목명 : 화학교육현장실습2 (Practical Survey in Chemistry Education2)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화학지식이 실제 산업 및 연구현장에서 어떻게 이용되는지를 현장실습을 통하여 이해, 체험토록 한다. 예비교사로서 과학탐방을 과학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how chemical knowledge is used in actual industrial and research fields through field training. As a preliminary teacher, students develop the ability to use science exploration in science education.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화학지식이 실제 산업 및 연구현장에서 어떻게 이용되는지를 현장실습을 통하여 이해, 체험토록 한다. 예비교사로서 과학탐방을 과학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how chemical knowledge is used in actual industrial and research fields through field training. As a preliminary teacher, students develop the ability to use science exploration in science education.

닫기
4/1학기 전선 4292015
화학반응속도론 (Chemical Kinetics)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2015
  • 교과목명 : 화학반응속도론 (Chemical Kinet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화학의 관심사는 물질의 변화이며, 화학 동역학(chemical kinetics)은 화학의 주요 분야 중 하나이다. 이 교과에서 우리는 물리화학 과정에서 습득한 열역학을 복습하고, 선수학습지식을 바탕으로 기체상 및 응축 상의 분자 거동을 이용한 화학의 반응 속도 및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방법에 대해 배울 것이다. 이 강의는 필요한 수학적 도구를 검토하고 분자 운동을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반응 속도, 복잡한 반응의 속도, 분자 반응 역학(molecular reaction dynamics)을 다룬다. 예비교사로서 중등 교육 현장에서 반응속도론의 교수학습 적용 방법에 대해 탐구/토론해본다.

    • English

      The concern of the course is change of materials and chemical kinetics which are the main areas of chemistry.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review the thermodynamics in the physical chemistry course and learn how to represent the reaction speed and mechanism of chemistry using molecular behavior on gas and condensation based on prior knowledge. The lecture will begin by reviewing the necessary mathematical tools and explaining molecular motion, reaction speed, complex reaction, and molecular reaction dynamics. The course will discuss how to apply the teaching practice of chemical kinetics for the secondary educ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화학의 관심사는 물질의 변화이며, 화학 동역학(chemical kinetics)은 화학의 주요 분야 중 하나이다. 이 교과에서 우리는 물리화학 과정에서 습득한 열역학을 복습하고, 선수학습지식을 바탕으로 기체상 및 응축 상의 분자 거동을 이용한 화학의 반응 속도 및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방법에 대해 배울 것이다. 이 강의는 필요한 수학적 도구를 검토하고 분자 운동을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반응 속도, 복잡한 반응의 속도, 분자 반응 역학(molecular reaction dynamics)을 다룬다. 예비교사로서 중등 교육 현장에서 반응속도론의 교수학습 적용 방법에 대해 탐구/토론해본다.

  • English

    The concern of the course is change of materials and chemical kinetics which are the main areas of chemistry.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review the thermodynamics in the physical chemistry course and learn how to represent the reaction speed and mechanism of chemistry using molecular behavior on gas and condensation based on prior knowledge. The lecture will begin by reviewing the necessary mathematical tools and explaining molecular motion, reaction speed, complex reaction, and molecular reaction dynamics. The course will discuss how to apply the teaching practice of chemical kinetics for the secondary education.

닫기
4/1학기 전선 4292053
화학특강1 (Special Topics in Chemistry 1)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2053
  • 교과목명 : 화학특강1 (Special Topics in Chemistry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유기금속 화합물중에서 촉매의 특성을 가지는 화합물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촉매과정중에 나타나는 반응 메커니즘을 이해 할 수 있다.

    • English

      Students learn the compounds of the catalyst in the organometallic compounds and the reaction mechanism that appeared during the catalyst proces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유기금속 화합물중에서 촉매의 특성을 가지는 화합물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촉매과정중에 나타나는 반응 메커니즘을 이해 할 수 있다.

  • English

    Students learn the compounds of the catalyst in the organometallic compounds and the reaction mechanism that appeared during the catalyst process.

닫기
4/1학기 전선 4292069
화학논리및논술 (Logic and Writing in Chemistry)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2069
  • 교과목명 : 화학논리및논술 (Logic and Writing in Chemist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수업은 예비교사로서 과학적 논리를 이해하고, 논리적인 과학글쓰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강좌이다. 과학의 본성에 기인하여 과학적 논리의 철학적 근간을 이해하고, 의사소통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글쓰기 능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비교사로서 중등교육에서 논리적 사고와 글쓰기를 지도하고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운다. 구체적으로 과학탐구를 지도하는 과정에서의 글쓰기 지도와 탐구수업에서 증거를 바탕으로 논증과 관련된 내용을 지도하는 수업을 고안하고 시연해 본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understand scientific logic and foster logical scientific writing skills for preservice teachers. Besides, preservice teacher can learn to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basis of scientific logic based on nature of science and increase writing ability efficiently for communication. Preservice teacher will learn how to guide and evaluate logical thinking and writing in the secondary school. Specifically, they can design and demonstrate a writing class that guide content related to the argument based on evidence and explore the lesson leading to scientific inquiry.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이 수업은 예비교사로서 과학적 논리를 이해하고, 논리적인 과학글쓰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강좌이다. 과학의 본성에 기인하여 과학적 논리의 철학적 근간을 이해하고, 의사소통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글쓰기 능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비교사로서 중등교육에서 논리적 사고와 글쓰기를 지도하고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운다. 구체적으로 과학탐구를 지도하는 과정에서의 글쓰기 지도와 탐구수업에서 증거를 바탕으로 논증과 관련된 내용을 지도하는 수업을 고안하고 시연해 본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understand scientific logic and foster logical scientific writing skills for preservice teachers. Besides, preservice teacher can learn to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basis of scientific logic based on nature of science and increase writing ability efficiently for communication. Preservice teacher will learn how to guide and evaluate logical thinking and writing in the secondary school. Specifically, they can design and demonstrate a writing class that guide content related to the argument based on evidence and explore the lesson leading to scientific inquiry.

닫기
4/2학기 전선 4292022
고급무기화학 (Advanced Inorganic Chemistry)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2022
  • 교과목명 : 고급무기화학 (Advanced Inorganic Chemist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유기금속 화합물의 안정성 예측 다양한 반응성에 대해서 깊이있는 관찰과 예상으로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유기금속 화합물중에서 촉매의 특성을 가지는 화합물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촉매과정중에 나타나는 반응 메커니즘을 이해 할 수 있다.

    • English

      Students can develop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stability and a variety of reactivity for organometallic compounds through the observation and predication with higher level. Especially, this subject focuses on the compounds with the catalytic behavior among a variety of organometallic compounds and the understanding reaction mechanism during the catalytic loop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유기금속 화합물의 안정성 예측 다양한 반응성에 대해서 깊이있는 관찰과 예상으로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유기금속 화합물중에서 촉매의 특성을 가지는 화합물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촉매과정중에 나타나는 반응 메커니즘을 이해 할 수 있다.

  • English

    Students can develop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stability and a variety of reactivity for organometallic compounds through the observation and predication with higher level. Especially, this subject focuses on the compounds with the catalytic behavior among a variety of organometallic compounds and the understanding reaction mechanism during the catalytic loops.

닫기
4/2학기 전선 4292030
유기분광학 (Organic Spectroscopy)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2030
  • 교과목명 : 유기분광학 (Organic Spectroscop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IR, NMR, UV, Mass 등 분광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유기화합물의 구조를 구명하는 원리와 응용방법을 습득하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미지시료의 구조를 확정하는 방법을 배우고 유기분석의 제반 과정에 수반되는 기초적인 원리와 지식을 축적하도록 한다. 특히 교원임용고사에 출제되는 스펙트럼 해석을 집중적으로 훈련하여 고사에 대비하도록 한다.

    • English

      This subject is to understand for determining the structure of organic compounds by using varied spectroscopic methods such as IR, NMR, UV, Mass, etc. Students can learn how to determine the structure for unknown organic compound and expect to accumulate basic principle and knowledge in spectroscopic analysis. Particularly, they will be trained intensively for the spectrum analysis which makes them ready for the teacher examin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IR, NMR, UV, Mass 등 분광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유기화합물의 구조를 구명하는 원리와 응용방법을 습득하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미지시료의 구조를 확정하는 방법을 배우고 유기분석의 제반 과정에 수반되는 기초적인 원리와 지식을 축적하도록 한다. 특히 교원임용고사에 출제되는 스펙트럼 해석을 집중적으로 훈련하여 고사에 대비하도록 한다.

  • English

    This subject is to understand for determining the structure of organic compounds by using varied spectroscopic methods such as IR, NMR, UV, Mass, etc. Students can learn how to determine the structure for unknown organic compound and expect to accumulate basic principle and knowledge in spectroscopic analysis. Particularly, they will be trained intensively for the spectrum analysis which makes them ready for the teacher examination.

닫기
4/2학기 전선 4292045
화학교육특강 (Special Topics in Chemistry Education)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2045
  • 교과목명 : 화학교육특강 (Special Topics in Chemistry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의 목적은 분석화확과 화학 교육의 핵심 내용을 구조화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학생들은 분석 화학과 화학교육 분야의 각 영역별로 임용고사 기출 문제를 분석하고 출제 경향을 파악한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hat students can organize the core content regarding analytical chemistry field and chemistry education and improve their problem solving skills. Students analyze the problem in the teacher examination regarding analytical chemistry field and chemistry education and identify the trend of question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의 목적은 분석화확과 화학 교육의 핵심 내용을 구조화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학생들은 분석 화학과 화학교육 분야의 각 영역별로 임용고사 기출 문제를 분석하고 출제 경향을 파악한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hat students can organize the core content regarding analytical chemistry field and chemistry education and improve their problem solving skills. Students analyze the problem in the teacher examination regarding analytical chemistry field and chemistry education and identify the trend of questions.

닫기
4/2학기 전선 4292054
화학특강2 (Special Topics in Chemistry 2)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2054
  • 교과목명 : 화학특강2 (Special Topics in Chemistry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분석화학의 한 분야인 전기화학의 원리를 심도 있게 이해하고, 이를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전기 분석의 원리, 전위차법, 산화환원 반응, 전해전지 분석 등의 내용을 다룬다. 예비교사로서 교과내용학적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구체적인 수업 내용은 표시과목 <화학>의 교사자격 기준과 평가 영역 및 평가내용 요소와 연계하여 구성되었으며, 교원임용기출문제를 활용하여 연습문제 풀이를 실시한다.

    • English

      Students develop in-depth understanding about the principles of electrochemistry which is part of the analytical chemistry and learn how to apply them, especially the principle of electrical analysis, potentiometric method, oxidation-reduction reaction, and the electrolytic cell analysis. To equip the students with the curriculum content as a prospective teacher, the content of the lecture is arranged followed to the teacher qualification standard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분석화학의 한 분야인 전기화학의 원리를 심도 있게 이해하고, 이를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전기 분석의 원리, 전위차법, 산화환원 반응, 전해전지 분석 등의 내용을 다룬다. 예비교사로서 교과내용학적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구체적인 수업 내용은 표시과목 <화학>의 교사자격 기준과 평가 영역 및 평가내용 요소와 연계하여 구성되었으며, 교원임용기출문제를 활용하여 연습문제 풀이를 실시한다.

  • English

    Students develop in-depth understanding about the principles of electrochemistry which is part of the analytical chemistry and learn how to apply them, especially the principle of electrical analysis, potentiometric method, oxidation-reduction reaction, and the electrolytic cell analysis. To equip the students with the curriculum content as a prospective teacher, the content of the lecture is arranged followed to the teacher qualification standards.

닫기
4/2학기 전선 4292070
분자분광학 (Molecular Spectroscopy)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2070
  • 교과목명 : 분자분광학 (Molecular Spectroscop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물리화학2와 고급물리화학에서 다루는 원자 및 분자구조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빛과 물질과의 상호작용에 대해 이해하고 얻어지는 회전 및 진동, 전자 전이와 관련한 스펙트럼으로부터 원자 및 분자구조를 실험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우고 물질분석에 이용한다.

    • English

      Based on the theory of atomic and molecular structure covered by physical chemistry 2 and advanced physical chemistry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as a preliminary teacher, we learn how to understand and experimentally identify atomic and molecular structures from spectra related to rotational, vibrational and electronic transitions that are obtained and used in material analysi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물리화학2와 고급물리화학에서 다루는 원자 및 분자구조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빛과 물질과의 상호작용에 대해 이해하고 얻어지는 회전 및 진동, 전자 전이와 관련한 스펙트럼으로부터 원자 및 분자구조를 실험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우고 물질분석에 이용한다.

  • English

    Based on the theory of atomic and molecular structure covered by physical chemistry 2 and advanced physical chemistry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as a preliminary teacher, we learn how to understand and experimentally identify atomic and molecular structures from spectra related to rotational, vibrational and electronic transitions that are obtained and used in material analysis.

닫기
  • 국문

  • English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