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안내

생물교육전공

교과 과정 검색 조건
교과과정
학년/학기 이수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강의 실습(설계) 교과목개요
2/1학기 전선 4293003
식물분류학및실험 (Plant Taxonomy and Laboratory)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3003
  • 교과목명 : 식물분류학및실험 (Plant Taxonomy and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은 예비교사로서 역량을 갖추기 위해 식물의 분류와 기원 및 계통을 학습하고, 식물동정과 명명등을 이해하여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식물의 종 다양성을 인식하도록한다. 또한 현장학습을 중점적으로 한 실습을 통하여 이론에 대한 실제 경험을 쌓게 함으로서 식물현상에 대해 흥미를 갖게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designed to equip the preservice teachers' ability to learn classification and origin and lineage of plants, understanding the plant identification and naming, etc. and to recognize the diversity of plants distributed in the country. In addition, practice was a field trip focused by gained some practical experience to theory throughout the plant should have an interest in the phenomenon.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은 예비교사로서 역량을 갖추기 위해 식물의 분류와 기원 및 계통을 학습하고, 식물동정과 명명등을 이해하여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식물의 종 다양성을 인식하도록한다. 또한 현장학습을 중점적으로 한 실습을 통하여 이론에 대한 실제 경험을 쌓게 함으로서 식물현상에 대해 흥미를 갖게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designed to equip the preservice teachers' ability to learn classification and origin and lineage of plants, understanding the plant identification and naming, etc. and to recognize the diversity of plants distributed in the country. In addition, practice was a field trip focused by gained some practical experience to theory throughout the plant should have an interest in the phenomenon.

닫기
2/1학기 전선 4293047
유전학 (Genetics)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3047
  • 교과목명 : 유전학 (Genet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미생물의 유전현상, 유전물질의 본질, 멘델유전법칙 및 유전자발현과 제어, 돌연변이들의 기본적 기작을 탐구해서 유전형상의 본질과 분자생물학적 기작을 이해한다.

    • English

      Investigate the genetic phenomena, the nature of genetic material, the Mendelian law and gene expression and control, and the basic mechanisms of mutation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genetic forms and molecular biology mechanism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미생물의 유전현상, 유전물질의 본질, 멘델유전법칙 및 유전자발현과 제어, 돌연변이들의 기본적 기작을 탐구해서 유전형상의 본질과 분자생물학적 기작을 이해한다.

  • English

    Investigate the genetic phenomena, the nature of genetic material, the Mendelian law and gene expression and control, and the basic mechanisms of mutation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genetic forms and molecular biology mechanisms.

닫기
2/1학기 전선 4293049
생물화학및실험 (Biochemistry and Laboratory)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3049
  • 교과목명 : 생물화학및실험 (Biochemistry and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생명체 구성 물질의 구조와 기능, 분해와 합성, 효소작용와 조절, 대사 과정과 에너지 생산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특성, 이들의 구성 요소, 효소의 특성과 조절, 탄수화물 분해와 세포 호흡, 산화적 인산화를 학습한다. 학생은 생체에서 중요한 대사작용과 에너지 생산 과정을 이해하고 이에 관련된 질병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biomaterial, components, degradation and synthesis of carbohydrate, enzymatic action and regulation, metabolic processes and energy production. Students learn the properties and structure of biomatrial such as carbohydrates, fats and proteins, the properties and regulation of enzymes, carbohydrate breakdown and cellular respiration, and oxidative phosphorylation. Students can explain important metabolic pathways and energy production processes in living organisms, and the diseases involved the processes.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생명체 구성 물질의 구조와 기능, 분해와 합성, 효소작용와 조절, 대사 과정과 에너지 생산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특성, 이들의 구성 요소, 효소의 특성과 조절, 탄수화물 분해와 세포 호흡, 산화적 인산화를 학습한다. 학생은 생체에서 중요한 대사작용과 에너지 생산 과정을 이해하고 이에 관련된 질병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biomaterial, components, degradation and synthesis of carbohydrate, enzymatic action and regulation, metabolic processes and energy production. Students learn the properties and structure of biomatrial such as carbohydrates, fats and proteins, the properties and regulation of enzymes, carbohydrate breakdown and cellular respiration, and oxidative phosphorylation. Students can explain important metabolic pathways and energy production processes in living organisms, and the diseases involved the processes.

닫기
2/1학기 전필 4293057
생물교육과글쓰기 (Writing Biology Education)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93057
  • 교과목명 : 생물교육과글쓰기 (Writing Biology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수업은 최근 교육적으로 중요한 목표가 되고 있는 과학글쓰기를 연습함으로서 예비교사의 글쓰기 역량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교사의 글쓰기 역량의 중요성이 높아짐으로서 임용고시에 글쓰기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이 수업을 통하여 임용고시의 서술형과 논술형의 문항에 대한 답안을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함으로서 글쓰기 역량을 높임과 동시에 임용고시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lass is to improve the writing ability of preservice teachers by practicing science writing, which recently has become an important educational goal. In particular, as the importance of teachers' writing ability is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writing is increasing at the appointment examination. Through this class, students will be able to prepare the answers for the narrative and essay questions in writing effectively, thereby increasing their writing skills and preparing for the examin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수업은 최근 교육적으로 중요한 목표가 되고 있는 과학글쓰기를 연습함으로서 예비교사의 글쓰기 역량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교사의 글쓰기 역량의 중요성이 높아짐으로서 임용고시에 글쓰기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이 수업을 통하여 임용고시의 서술형과 논술형의 문항에 대한 답안을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함으로서 글쓰기 역량을 높임과 동시에 임용고시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lass is to improve the writing ability of preservice teachers by practicing science writing, which recently has become an important educational goal. In particular, as the importance of teachers' writing ability is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writing is increasing at the appointment examination. Through this class, students will be able to prepare the answers for the narrative and essay questions in writing effectively, thereby increasing their writing skills and preparing for the examination.

닫기
2/2학기 전선 4293001
동물분류학및실험 (Animal Taxonomy and Laboratory)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3001
  • 교과목명 : 동물분류학및실험 (Animal Taxonomy and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생물연구의 기본이 되는 분류 학문분야의 정의와 분류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방법들의 이해와 관련 지식들을 학습하며, 더불어서 다양한 동물군들에 대한 실질적인 분류를 수행한다 .또한, 이렇게 배운 지식들을 야외에서 직접 실습을 통하여 복습, 적용한다

    • English

      The students will learn the basic concept used in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in the biology and carries out the practical classification of various animal group. The concept will be learned to the hands-on outdoor activities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생물연구의 기본이 되는 분류 학문분야의 정의와 분류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방법들의 이해와 관련 지식들을 학습하며, 더불어서 다양한 동물군들에 대한 실질적인 분류를 수행한다 .또한, 이렇게 배운 지식들을 야외에서 직접 실습을 통하여 복습, 적용한다

  • English

    The students will learn the basic concept used in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in the biology and carries out the practical classification of various animal group. The concept will be learned to the hands-on outdoor activities

닫기
2/2학기 전선 4293009
식물생리학 (Plant Physiology)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3009
  • 교과목명 : 식물생리학 (Plant Physi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식물의 종자 발아에서 개체 사멸에 이르는 생활사에서 생장과 발달현상에 대한 주요 광합성, 호흡작용과 같은 생리학적과정 및 독립영양 생물 지위를 지니게하는 분자,생화학적 대사과정(탄소 대사, 질소 및 황대사)를 전반적으로 다루며, 이들 과정과 연계된 식물 호르몬의 조절작용을 고찰한다. 더나아가 서식환경에대한 식물의 적응반응으로서 식물의 운동및 개화 광주기성 반응을 이해한다.

    • English

      Related to secondary learning material, major photosynthesis of growth and development phenomena, physiological processes such as respiratory action, and molecular, biochemical metabolic processes (carbon, nitrogen, and yellow metabolism) that have independent nutritional status in life history from seed germination to apoptosis of the plant, and consider the adjustment of plant hormones associated with these processes. As a plant adaptation response to habitat environment, DeNa understands the plant's kinetic and blooming photovoltaic reaction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식물의 종자 발아에서 개체 사멸에 이르는 생활사에서 생장과 발달현상에 대한 주요 광합성, 호흡작용과 같은 생리학적과정 및 독립영양 생물 지위를 지니게하는 분자,생화학적 대사과정(탄소 대사, 질소 및 황대사)를 전반적으로 다루며, 이들 과정과 연계된 식물 호르몬의 조절작용을 고찰한다. 더나아가 서식환경에대한 식물의 적응반응으로서 식물의 운동및 개화 광주기성 반응을 이해한다.

  • English

    Related to secondary learning material, major photosynthesis of growth and development phenomena, physiological processes such as respiratory action, and molecular, biochemical metabolic processes (carbon, nitrogen, and yellow metabolism) that have independent nutritional status in life history from seed germination to apoptosis of the plant, and consider the adjustment of plant hormones associated with these processes. As a plant adaptation response to habitat environment, DeNa understands the plant's kinetic and blooming photovoltaic reactions.

닫기
2/2학기 전선 4293048
세포학 (Cell Biology)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3048
  • 교과목명 : 세포학 (Cell Bi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생명의 기초인 세포의 구조와 기능, 세포 연구의 방법등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포내 물질 수송, 세포 골격, 세포 분열과 세포 주기, 세포 신호전달, 세포외 기질, 세포 기능 조절등을 학습한다. 학생은 세포 수준에서 생명현상을 이해하고 성장과 분화, 암과 노화 등 인체와 관련된 여러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cells, the method of cell research. Students learn intracellular transport of proteins, cytoskeleton, cell division and cell cycle regulation, signal transduction and extracellular matrix. Students can explain the principles of biological phenomena at the cellular level and explain various phenomena related to the human body, including growth and differentiation, cancer and aging.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생명의 기초인 세포의 구조와 기능, 세포 연구의 방법등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포내 물질 수송, 세포 골격, 세포 분열과 세포 주기, 세포 신호전달, 세포외 기질, 세포 기능 조절등을 학습한다. 학생은 세포 수준에서 생명현상을 이해하고 성장과 분화, 암과 노화 등 인체와 관련된 여러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cells, the method of cell research. Students learn intracellular transport of proteins, cytoskeleton, cell division and cell cycle regulation, signal transduction and extracellular matrix. Students can explain the principles of biological phenomena at the cellular level and explain various phenomena related to the human body, including growth and differentiation, cancer and aging.

닫기
2/2학기 전선 4293050
유전공학및실험 (Genetic Engineering and Laboratory)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3050
  • 교과목명 : 유전공학및실험 (Genetic Engineering and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유전자 클로닝과 재조합, 분석과 응용 방법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핵산의 성질과 분리, 재조합 DNA, 유전자의 획득과 분석, 전사체와 단백질 분석, 유전공학의 여러 응용 분야에 대하여 학습한다. 학생은 유전공학의 원리와 방법, 응용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at understanding various techniques related genetic cloning and recombination, gene analysis and at application of these techniques. Students learn the characteristics and isolation of nucleic acids, recombinant DNA techniques, methods of gene acquisition and analysis, RNA and protein analysis, and many other applications of these techiques, Students can explain the principles, methods, and applications of genetic engineering.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유전자 클로닝과 재조합, 분석과 응용 방법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핵산의 성질과 분리, 재조합 DNA, 유전자의 획득과 분석, 전사체와 단백질 분석, 유전공학의 여러 응용 분야에 대하여 학습한다. 학생은 유전공학의 원리와 방법, 응용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at understanding various techniques related genetic cloning and recombination, gene analysis and at application of these techniques. Students learn the characteristics and isolation of nucleic acids, recombinant DNA techniques, methods of gene acquisition and analysis, RNA and protein analysis, and many other applications of these techiques, Students can explain the principles, methods, and applications of genetic engineering.

닫기
2/2학기 전선 4293067
생명과학교육론 (Theories of Life Science Education)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3067
  • 교과목명 : 생명과학교육론 (Theories of Life Science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중등학교 생명과학 예비교사에게 필요한 전문적인 교수?학습 역량을 함양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교과 내용은 ‘생명과학 철학’, ‘생명과학 본성’, ‘생명과학 학습이론’, ‘생명과학 교수?학습 방법’, ‘생명과학 학습 평가’ 영역으로 구분하며, 이론적 학습과 실제적 적용 활동을 포함한다. 생명과학 철학에서는 생명과학 지식, 과학적 방법론, 생명과학 학습 및 평가의 철학적 기초를 학습하며, 생명과학 본성에서는 생명과학 지식생성, 생명과학 연구 방법, 탐구 과정 및 기능, 생물학과 과학?기술?사회의 상호 관계를 탐구한다. 또한, 생명과학 학습이론에서는 생명과학 학습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심리철학, 학습 이론, 학습 모델에 대해 학습하며, 생명과학 교수?학습 방법에서는 생명과학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및 수업모델에 대해 학습한다. 생명과학 학습 평가에서는 학습자에 대한 다양한 평가 방법을 학습하고, 평가 문항을 구성하는 능력을 기른다. 이를 통해 예비 생물 교사에게 요구되는 학습자 이해 및 교수?학습 능력을 개발하고, 중ㆍ고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도록 전문적 지식과 교수역량 함양의 기회를 제공한다.

    • English

      This course focuses on developing professional teaching and learning competencies for pre-service secondary biology teachers. The content is divided into five areas: Philosophy of Life Sciences, Nature of Life Sciences, Learning Theories in Life Sciences, Lif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Life Science Assessment, encompassing theoretical study and practical application activities. In the Philosophy of Life Sciences section, students learn about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life science knowledge, scientific methodology, and life science learning and assessment principles. The Nature of Life Sciences section covers the generation of life science knowledge, research methods, inquiry processes and function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biology,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In Learning Theories in Life Sciences, students study the psychological and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life science learning, including relevant theories and learning models. The Lif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ection introduce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instructional models tailored for life science education. In Life Science Assessment, students explore various methods of evaluating learners and develop skills in constructing assessment items. Through this course, pre-service biology teachers will develop essential learner understanding and teaching abilities, gaining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instructional skills needed to play a central role in secondary education setting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중등학교 생명과학 예비교사에게 필요한 전문적인 교수?학습 역량을 함양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교과 내용은 ‘생명과학 철학’, ‘생명과학 본성’, ‘생명과학 학습이론’, ‘생명과학 교수?학습 방법’, ‘생명과학 학습 평가’ 영역으로 구분하며, 이론적 학습과 실제적 적용 활동을 포함한다. 생명과학 철학에서는 생명과학 지식, 과학적 방법론, 생명과학 학습 및 평가의 철학적 기초를 학습하며, 생명과학 본성에서는 생명과학 지식생성, 생명과학 연구 방법, 탐구 과정 및 기능, 생물학과 과학?기술?사회의 상호 관계를 탐구한다. 또한, 생명과학 학습이론에서는 생명과학 학습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심리철학, 학습 이론, 학습 모델에 대해 학습하며, 생명과학 교수?학습 방법에서는 생명과학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및 수업모델에 대해 학습한다. 생명과학 학습 평가에서는 학습자에 대한 다양한 평가 방법을 학습하고, 평가 문항을 구성하는 능력을 기른다. 이를 통해 예비 생물 교사에게 요구되는 학습자 이해 및 교수?학습 능력을 개발하고, 중ㆍ고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도록 전문적 지식과 교수역량 함양의 기회를 제공한다.

  • English

    This course focuses on developing professional teaching and learning competencies for pre-service secondary biology teachers. The content is divided into five areas: Philosophy of Life Sciences, Nature of Life Sciences, Learning Theories in Life Sciences, Lif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Life Science Assessment, encompassing theoretical study and practical application activities. In the Philosophy of Life Sciences section, students learn about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life science knowledge, scientific methodology, and life science learning and assessment principles. The Nature of Life Sciences section covers the generation of life science knowledge, research methods, inquiry processes and function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biology,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In Learning Theories in Life Sciences, students study the psychological and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life science learning, including relevant theories and learning models. The Lif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ection introduce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instructional models tailored for life science education. In Life Science Assessment, students explore various methods of evaluating learners and develop skills in constructing assessment items. Through this course, pre-service biology teachers will develop essential learner understanding and teaching abilities, gaining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instructional skills needed to play a central role in secondary education settings.

닫기
3/1학기 전필 4293006
생물교육현장실습1 (Practical Survey in Biology Laboratory 1)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93006
  • 교과목명 : 생물교육현장실습1 (Practical Survey in Biology Laboratory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야외현장 실습을 통하여, 학교현장에서 수행될 야외교육을 준비하고, 수행하고, 정리하는 과정을 배우고, 실질적으로 실습 내에 일어나는 자연탐구를 수행한다.학생들이 조를 편성하여 실험수행을 위한 주제 및 방법을 결정하고, 이를 서로 토론과 논의를 통하여 발전시킨다. 이후 실습현지에서 계획된 실험을 수행하여 자료를 획득하고, 분석한 후 발표과정까지를 완료하게 된다. 학교로 복귀 후에는 연구결과서를 제출한다.

    • English

      Through outdoor field practice, students learn the process of preparing, performing, and organizing outdoor education to be performed at school sites, and conducting natural exploration that takes place within the practical field. And develop them through discussion and discussion with each other. After that, a planned experiment is conducted in a practice field to acquire data, analyze the data, and then complete the presentation process. After returning to school, submit the research results.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야외현장 실습을 통하여, 학교현장에서 수행될 야외교육을 준비하고, 수행하고, 정리하는 과정을 배우고, 실질적으로 실습 내에 일어나는 자연탐구를 수행한다.학생들이 조를 편성하여 실험수행을 위한 주제 및 방법을 결정하고, 이를 서로 토론과 논의를 통하여 발전시킨다. 이후 실습현지에서 계획된 실험을 수행하여 자료를 획득하고, 분석한 후 발표과정까지를 완료하게 된다. 학교로 복귀 후에는 연구결과서를 제출한다.

  • English

    Through outdoor field practice, students learn the process of preparing, performing, and organizing outdoor education to be performed at school sites, and conducting natural exploration that takes place within the practical field. And develop them through discussion and discussion with each other. After that, a planned experiment is conducted in a practice field to acquire data, analyze the data, and then complete the presentation process. After returning to school, submit the research results.

닫기
3/1학기 전선 4293029
발생학 (Development Biology)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3029
  • 교과목명 : 발생학 (Development Bi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동물 발생 과정과 발생의 메카니즘을 형태학적, 분자생물학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정, 난할, 패턴형성, 조직 및 기관형성, 성 결정의 각 단계와 이 단계에 일어나는 중요한 현상과 이들의 근본적인 원리를 세포와 분자생물학적으로 학습한다. 학생은 발생 메카니즘과 인체 발생을 설명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at understanding the morphological aspects and molecular mechanism of animal development processes. Students learn cell and molecular biology in each stage of fertilization, cleavage, pattern formation, tissue and organ formation, sex determination. Also they learn the important phenomena that occur at thess stages, and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mechanism that lead to the development. The student can explain the developmental mechanism of model animals and human developmen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동물 발생 과정과 발생의 메카니즘을 형태학적, 분자생물학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정, 난할, 패턴형성, 조직 및 기관형성, 성 결정의 각 단계와 이 단계에 일어나는 중요한 현상과 이들의 근본적인 원리를 세포와 분자생물학적으로 학습한다. 학생은 발생 메카니즘과 인체 발생을 설명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at understanding the morphological aspects and molecular mechanism of animal development processes. Students learn cell and molecular biology in each stage of fertilization, cleavage, pattern formation, tissue and organ formation, sex determination. Also they learn the important phenomena that occur at thess stages, and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mechanism that lead to the development. The student can explain the developmental mechanism of model animals and human development.

닫기
3/1학기 전선 4293051
동물생리학1 (Animal Physiology 1)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3051
  • 교과목명 : 동물생리학1 (Animal Physiology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교과목은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동물생리학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인체의 각계(system)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현상을 알아 보고, 이들 사이에 상호 조절작용과 항상성 조절 기전을 이해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designed to acquire basic knowledge about animal physiology in connection with the contents of secondary school and to understand the physiological phenomena occurring in the system of the human body, and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mutual control and homeostasis between them.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교과목은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동물생리학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인체의 각계(system)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현상을 알아 보고, 이들 사이에 상호 조절작용과 항상성 조절 기전을 이해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designed to acquire basic knowledge about animal physiology in connection with the contents of secondary school and to understand the physiological phenomena occurring in the system of the human body, and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mutual control and homeostasis between them.

닫기
3/1학기 전선 4293053
미생물학 (Microbiology)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3053
  • 교과목명 : 미생물학 (Microbi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은 예비교사로서 역량을 갖추기 위해 미생물의 종류 및 대사, 유전자 및 생태학까지 미생물학의 전반을 공부하는 과목이다. 미생물학이 교사자격시험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대비한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기출문제를 풀어 보며 준비하게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designed to study the whole of microbiology, including the types and metabolism of microorganisms, genes and ecology. Since microbiology is included in the teacher qualification test, this study prepares students to solve the pre-testing problems on the preparation for the tes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은 예비교사로서 역량을 갖추기 위해 미생물의 종류 및 대사, 유전자 및 생태학까지 미생물학의 전반을 공부하는 과목이다. 미생물학이 교사자격시험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대비한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기출문제를 풀어 보며 준비하게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designed to study the whole of microbiology, including the types and metabolism of microorganisms, genes and ecology. Since microbiology is included in the teacher qualification test, this study prepares students to solve the pre-testing problems on the preparation for the test.

닫기
3/1학기 전선 4293058
생물논리및논술 (Logic and Writing in Biology)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3058
  • 교과목명 : 생물논리및논술 (Logic and Writing in Bi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과학적 논리를 이해하고, 논리적인 과학글쓰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강좌이다. 과학의 본성에 기인하여 과학적 논리의 철학적 근간을 이해하고, 의사소통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글쓰기 능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designed to understand scientific logic and develop logical scientific writing skills. Due to the nature of science, it aims to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basis of scientific logic and to improve the ability to write efficiently in terms of communication.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과학적 논리를 이해하고, 논리적인 과학글쓰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강좌이다. 과학의 본성에 기인하여 과학적 논리의 철학적 근간을 이해하고, 의사소통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글쓰기 능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designed to understand scientific logic and develop logical scientific writing skills. Due to the nature of science, it aims to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basis of scientific logic and to improve the ability to write efficiently in terms of communication.

닫기
3/2학기 전필 4293012
면역학 (Immunology)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93012
  • 교과목명 : 면역학 (Immun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면역의 기본개념과 면역체계의 구성과 조절에 대해 세포와 유전자 수준에서 소개한다. 또한 최근 면역학의 동향과 최근 주목받고 있는 질병에 대한 방어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 English

      To introduce the basic concept of immunity, and the composition and regulation of the immune system at the cellular and genetic level. Also, to introduce the recent trends in immunology and defense against diseases that recently receiving atten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면역의 기본개념과 면역체계의 구성과 조절에 대해 세포와 유전자 수준에서 소개한다. 또한 최근 면역학의 동향과 최근 주목받고 있는 질병에 대한 방어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 English

    To introduce the basic concept of immunity, and the composition and regulation of the immune system at the cellular and genetic level. Also, to introduce the recent trends in immunology and defense against diseases that recently receiving attention.

닫기
3/2학기 전선 4293043
생물교재연구및지도법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in Biology)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3043
  • 교과목명 : 생물교재연구및지도법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in Bi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생물 학습과 수업 및 교수의 의미와 특징 그리고 그것들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 과학의 학습지도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몇가지 방법 또는 전략을 기술하며. 학습이론, 수업이론, 평가이론, 교재론의 지식을 바탕으로 과학 교수-학습 방법과 교재를 이해하게 한다.

    • English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 and relationship of biology teaching and learning, describe the methods or strategies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in science teaching. Students will understand scienc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materials based on knowledge of learning theory, class theory, evaluation theory, and teaching theor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생물 학습과 수업 및 교수의 의미와 특징 그리고 그것들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 과학의 학습지도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몇가지 방법 또는 전략을 기술하며. 학습이론, 수업이론, 평가이론, 교재론의 지식을 바탕으로 과학 교수-학습 방법과 교재를 이해하게 한다.

  • English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 and relationship of biology teaching and learning, describe the methods or strategies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in science teaching. Students will understand scienc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materials based on knowledge of learning theory, class theory, evaluation theory, and teaching theory.

닫기
3/2학기 전선 4293052
동물생리학2 (Animal Physiology 2)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3052
  • 교과목명 : 동물생리학2 (Animal Physiology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교과목은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동물생리학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인체의 각계(system)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현상을 알아 보고, 이들 사이에 상호 조절작용과 항상성 조절 기전을 이해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designed to acquire basic knowledge about animal physiology in connection with the contents of secondary school and to understand the physiological phenomena occurring in the system of the human body, and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mutual control and homeostasis between them.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교과목은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동물생리학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인체의 각계(system)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현상을 알아 보고, 이들 사이에 상호 조절작용과 항상성 조절 기전을 이해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designed to acquire basic knowledge about animal physiology in connection with the contents of secondary school and to understand the physiological phenomena occurring in the system of the human body, and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mutual control and homeostasis between them.

닫기
4/1학기 전선 4293015
분자생물학 (Molecular Biology)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3015
  • 교과목명 : 분자생물학 (Molecular Bi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핵산의 구조와 기능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핵산의 합성과 구조, DNA 복제와 전사, RNA 가공과 번역, DNA 변이와 수선, 진핵과 원핵 생물의 유전자 조절에 대하여 학습한다. 학생은 핵산의 합성, 구조와 기능, 조절과 변이, 수선을 설명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at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nucleic acids at the molecular level. Students learn about the synthesis and structure of nucleic acids, DNA replication and transcription, RNA processing and translation, DNA mutation and repair mechanisms, and gene regulation in eukaryotes and prokaryotes. The student can explain nucleic acid synthesis, structure and function, regulation and mutation, and repair.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핵산의 구조와 기능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핵산의 합성과 구조, DNA 복제와 전사, RNA 가공과 번역, DNA 변이와 수선, 진핵과 원핵 생물의 유전자 조절에 대하여 학습한다. 학생은 핵산의 합성, 구조와 기능, 조절과 변이, 수선을 설명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at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nucleic acids at the molecular level. Students learn about the synthesis and structure of nucleic acids, DNA replication and transcription, RNA processing and translation, DNA mutation and repair mechanisms, and gene regulation in eukaryotes and prokaryotes. The student can explain nucleic acid synthesis, structure and function, regulation and mutation, and repair.

닫기
4/1학기 전필 4293018
생물교육현장실습2 (Practical Survey in Biology Education 2)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93018
  • 교과목명 : 생물교육현장실습2 (Practical Survey in Biology Education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야외현장 실습을 통하여 ,학교현장에서 수행될 야외교육을 준비하고, 수행하고, 정리하는 과정을 배우고, 실질적으로 실습내에 일어나는 자연탐구를 수행한다. 학생들이 조를 편성하여 실험수행을 위한 주제 및 방법을 결정하고, 이를 서로 토론과 논의를 통하여 발전시킨다. 이후 실습현지에서 계획된 실험을 수행하여 자료를 획득하고, 분석한 후 발표과정까지를 완료하게 된다. 학교로 복귀 후에는 연구결과서를 제출한다.

    • English

      Through field study, students learn the process of preparing, performing, and organizing field education to be performed at the school site, and conducting nature exploration in practice. Students organize groups to determine topics and methods for conducting experiments and develop them through discussion and discussion with each other. After that, a planned experiment will be conducted in a field to acquire data, analyze the data, and then complete the presentation process. Submitting the research report after returning to school.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야외현장 실습을 통하여 ,학교현장에서 수행될 야외교육을 준비하고, 수행하고, 정리하는 과정을 배우고, 실질적으로 실습내에 일어나는 자연탐구를 수행한다. 학생들이 조를 편성하여 실험수행을 위한 주제 및 방법을 결정하고, 이를 서로 토론과 논의를 통하여 발전시킨다. 이후 실습현지에서 계획된 실험을 수행하여 자료를 획득하고, 분석한 후 발표과정까지를 완료하게 된다. 학교로 복귀 후에는 연구결과서를 제출한다.

  • English

    Through field study, students learn the process of preparing, performing, and organizing field education to be performed at the school site, and conducting nature exploration in practice. Students organize groups to determine topics and methods for conducting experiments and develop them through discussion and discussion with each other. After that, a planned experiment will be conducted in a field to acquire data, analyze the data, and then complete the presentation process. Submitting the research report after returning to school.

닫기
4/1학기 전선 4293054
생태학및실험 (Ecology and Laboratory)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3054
  • 교과목명 : 생태학및실험 (Ecology and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교과목은 예비교사가 살아있는 생물과 그의 환경을 이루는 모든 대상과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학생들은 이 과목 수강을 통하여 생물들이 주위의 생물과 무생물과 어떻게 관련하며 생존과 진화를 하여 가는가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This course designed for preservice teachers to study the interaction between living creatures and all objects that make up their environment. Students take this course to understand how living things relate to living and nonliving things and how they survive and evolve.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이 교과목은 예비교사가 살아있는 생물과 그의 환경을 이루는 모든 대상과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학생들은 이 과목 수강을 통하여 생물들이 주위의 생물과 무생물과 어떻게 관련하며 생존과 진화를 하여 가는가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This course designed for preservice teachers to study the interaction between living creatures and all objects that make up their environment. Students take this course to understand how living things relate to living and nonliving things and how they survive and evolve.

닫기
4/1학기 전필 4293056
생물교육연구 (Research on Biology Education)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93056
  • 교과목명 : 생물교육연구 (Research on Biology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생물학의 기본 과목들에 대한 복습학습을 통하여 이해를 심층화시키며, 생물교육의 효율적 방안에 대해 토론한다. 더불어 생물학 관련 다양한 문제에 대하여 정리, 발표를 하여 생물학의 다양한 개념에 대해 연구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전문성이 있는 교사로 성장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 English

      Students will deepen their understanding by reviewing the basic biology subjects they have studied for four years and discuss effective ways of biology education. In addition, students study various concepts of biology by arranging and presenting various problems related to biology. Through this process, the goal is to grow them into a professional teacher.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생물학의 기본 과목들에 대한 복습학습을 통하여 이해를 심층화시키며, 생물교육의 효율적 방안에 대해 토론한다. 더불어 생물학 관련 다양한 문제에 대하여 정리, 발표를 하여 생물학의 다양한 개념에 대해 연구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전문성이 있는 교사로 성장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 English

    Students will deepen their understanding by reviewing the basic biology subjects they have studied for four years and discuss effective ways of biology education. In addition, students study various concepts of biology by arranging and presenting various problems related to biology. Through this process, the goal is to grow them into a professional teacher.

닫기
4/1학기 전선 4293069
데이터기반생물연구방법론 (Data-Driven Biology Research Methodology)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3069
  • 교과목명 : 데이터기반생물연구방법론 (Data-Driven Biology Research Method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생물학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능력 개발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 주제 선정, 연구 계획 수립, 실험 수행, 결과 발표, 논문 작성에 필요한 다양한 지식과 분석법 관련 학습 및 실습을 제공한다. 예비 교사들은 데이터 기반 접근을 통해 생물학적 현상을 탐구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함양하게 되며, 실제 교육 현장에서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한 생물 탐구활동을 지도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개발하게 된다. 이를 통해 미래 교육 현장에서 빅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융합적 탐구 활동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교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This course focuses on developing the ability to collect and analyze data essential for biological research. It provides pre-service teachers with knowledge and analytical skills to select research topics, plan research, conduct experiments, present results, and write papers. Through a data-driven approach, pre-service teachers will cultivate the ability to explore and analyze biological phenomena and develop the expertise required to guid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based biological inquiry activities in real educational settings. This course aims to support future teachers in effectively facilitating integrated inquiry activities using big data and scientific research methods in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생물학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능력 개발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 주제 선정, 연구 계획 수립, 실험 수행, 결과 발표, 논문 작성에 필요한 다양한 지식과 분석법 관련 학습 및 실습을 제공한다. 예비 교사들은 데이터 기반 접근을 통해 생물학적 현상을 탐구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함양하게 되며, 실제 교육 현장에서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한 생물 탐구활동을 지도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개발하게 된다. 이를 통해 미래 교육 현장에서 빅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융합적 탐구 활동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교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This course focuses on developing the ability to collect and analyze data essential for biological research. It provides pre-service teachers with knowledge and analytical skills to select research topics, plan research, conduct experiments, present results, and write papers. Through a data-driven approach, pre-service teachers will cultivate the ability to explore and analyze biological phenomena and develop the expertise required to guid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based biological inquiry activities in real educational settings. This course aims to support future teachers in effectively facilitating integrated inquiry activities using big data and scientific research methods in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s.

닫기
4/2학기 전선 4293055
생물교육특강 (Special Topics in Biology Education)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3055
  • 교과목명 : 생물교육특강 (Special Topics in Biology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대학에서 배우는 생물교과목의 핵심사항 들을 정리하고, 학생들의 의문점들을 학생 개별적으로 상의하여 해결하는 교과목으로, 생물교과목에 대한 폭넓은 이해의 증진 및 임용고사 준비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summarize the core subjects of biology subjects taught at university and to resolve students' questions by discussing their individual question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대학에서 배우는 생물교과목의 핵심사항 들을 정리하고, 학생들의 의문점들을 학생 개별적으로 상의하여 해결하는 교과목으로, 생물교과목에 대한 폭넓은 이해의 증진 및 임용고사 준비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summarize the core subjects of biology subjects taught at university and to resolve students' questions by discussing their individual questions.

닫기
4/2학기 전선 4293068
디지털기반생물학특강 (Special Topics in Digital-Based Biology)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3068
  • 교과목명 : 디지털기반생물학특강 (Special Topics in Digital-Based Bi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에서는 생물학 핵심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생물학 관련 다양한 국내외 논문을 분석 및 발표하는 활동을 통해 예비 교사들이 깊이 있는 생물학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또한, 디지털 도구와 AI 기반 자료를 활용한 탐구 및 분석 경험을 통해 교사에게 요구되는 최신 교육 역량과 연구 능력을 함께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졸업 후 임용고사 준비나 일반 대학원 진학을 실질적이고 효율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This course systematically organizes core biological concepts and engages pre-service teachers in analyzing and presenting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biology research papers to help them acquire in-depth biological knowledge. Additionally, utilizing digital tools and AI-based resources offers opportunities to develop the latest teaching competencies and research skills required for educators. The course aims to support students in preparing effectively and efficiently for teaching certification exams or graduate school admissions upon gradu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에서는 생물학 핵심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생물학 관련 다양한 국내외 논문을 분석 및 발표하는 활동을 통해 예비 교사들이 깊이 있는 생물학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또한, 디지털 도구와 AI 기반 자료를 활용한 탐구 및 분석 경험을 통해 교사에게 요구되는 최신 교육 역량과 연구 능력을 함께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졸업 후 임용고사 준비나 일반 대학원 진학을 실질적이고 효율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This course systematically organizes core biological concepts and engages pre-service teachers in analyzing and presenting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biology research papers to help them acquire in-depth biological knowledge. Additionally, utilizing digital tools and AI-based resources offers opportunities to develop the latest teaching competencies and research skills required for educators. The course aims to support students in preparing effectively and efficiently for teaching certification exams or graduate school admissions upon graduation.

닫기
  • 국문

  • English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