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안내

지구과학교육전공

교과 과정 검색 조건
교과과정
학년/학기 이수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강의 실습(설계) 교과목개요
2/1학기 전선 4294005
지구과학현장실습1 (Practical Survey in Earth Science 1)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4005
  • 교과목명 : 지구과학현장실습1 (Practical Survey in Earth Science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지구과학과 관련된 기관(연구소, 단체, 시설 등)을 직접 방문하여 현장 학습의 기회를 가지거나, 지질 조사, 천체 관측 등 야외 실습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실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이러한 견학 수업과 야외 활동을 기획하고 준비하는 일련의 과정을 학습한다. 따라서, 향후 교육현장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English

      It is intended to have opportunities for field learning by visiting institutions (e.g. research laboratories, organizations, facilities, etc.) related to earth science, or to conduct outdoor practices such as geological survey and astronomical observation. Through this, we acquire practical knowledge and learn a series of courses in planning and preparing for these field trip classes and outdoor activities. Therefore, the ability to apply to future educational sites is developed.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지구과학과 관련된 기관(연구소, 단체, 시설 등)을 직접 방문하여 현장 학습의 기회를 가지거나, 지질 조사, 천체 관측 등 야외 실습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실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이러한 견학 수업과 야외 활동을 기획하고 준비하는 일련의 과정을 학습한다. 따라서, 향후 교육현장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English

    It is intended to have opportunities for field learning by visiting institutions (e.g. research laboratories, organizations, facilities, etc.) related to earth science, or to conduct outdoor practices such as geological survey and astronomical observation. Through this, we acquire practical knowledge and learn a series of courses in planning and preparing for these field trip classes and outdoor activities. Therefore, the ability to apply to future educational sites is developed.

닫기
2/1학기 전선 4294045
지질학 (Geology)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4045
  • 교과목명 : 지질학 (Ge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수업은 중등예비교사로서 고체지구를 이루고 있는 물질의 기원 및 특성에 대하여 밝혀진 암석학적인 사실을 통해서, 지구의 생성과 변천사 등을 학습한다. 지체 지구의 표면에서 연구된 화성암, 퇴적암 및 변성암의 성인 및 특징을 통해서, 지구의 생성과 진화 과정을 학습 한다. 이를 통해 학생은 지질학 학습에 대한 이해를 설명할 수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 교사로서 이에 대한 내용을 충분히 수업할 수 있다.

    • English

      As a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 this class learns about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solid earth materials through rock-solid facts, such as the cre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earth. Through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 of igneous, sedimentary and metamorphic rocks studied on the surface of the earth, the earth's creation and evolution process is studied. This allows students to explain their understanding of geology learning, and to fully teach them as teachers in the educational field.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이 수업은 중등예비교사로서 고체지구를 이루고 있는 물질의 기원 및 특성에 대하여 밝혀진 암석학적인 사실을 통해서, 지구의 생성과 변천사 등을 학습한다. 지체 지구의 표면에서 연구된 화성암, 퇴적암 및 변성암의 성인 및 특징을 통해서, 지구의 생성과 진화 과정을 학습 한다. 이를 통해 학생은 지질학 학습에 대한 이해를 설명할 수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 교사로서 이에 대한 내용을 충분히 수업할 수 있다.

  • English

    As a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 this class learns about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solid earth materials through rock-solid facts, such as the cre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earth. Through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 of igneous, sedimentary and metamorphic rocks studied on the surface of the earth, the earth's creation and evolution process is studied. This allows students to explain their understanding of geology learning, and to fully teach them as teachers in the educational field.

닫기
2/1학기 전선 4294046
대기과학 (Atmospheric Science)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4046
  • 교과목명 : 대기과학 (Atmospheric Scie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 내용과 연계하여 학문적으로는 지구과학의 영역 중 기권을 다루는 대기 과학의 개론을 기상학에 기반을 두고 지식 영역을 넓혀서 고급 대기과학을 수강할 역량을 키운다. 중등예비교사로서 초중등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대기 관련 내용지식과 교육과정 지식을 함양하며 중등학교에서 다루는 실험을 중심으로 본 과정에서 실험 수업을 수행한다.

    • English

      Students will learn the introduction of atmospheric science realted with the abstention of the areas of meteorology for increasing the knowledge of advanced atmospheric science. As preservice secondary teacher, students will be fostered their knowledge about atmospheric-related knowledge to conduct experiment class for secondary schools.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 내용과 연계하여 학문적으로는 지구과학의 영역 중 기권을 다루는 대기 과학의 개론을 기상학에 기반을 두고 지식 영역을 넓혀서 고급 대기과학을 수강할 역량을 키운다. 중등예비교사로서 초중등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대기 관련 내용지식과 교육과정 지식을 함양하며 중등학교에서 다루는 실험을 중심으로 본 과정에서 실험 수업을 수행한다.

  • English

    Students will learn the introduction of atmospheric science realted with the abstention of the areas of meteorology for increasing the knowledge of advanced atmospheric science. As preservice secondary teacher, students will be fostered their knowledge about atmospheric-related knowledge to conduct experiment class for secondary schools.

닫기
2/1학기 전선 4294047
천문학 (Astronomy)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4047
  • 교과목명 : 천문학 (Astronom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천문학 전 분야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을 강의와 실습을 통하여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한다. 천체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가지 현상을 지배하는 기본 원리를 간단한 물리 법칙으로 설명하고, 관측과 비교함으로써 천문 현상에 대한 이해를 유도한다. 이 강좌를 통해 다양한 천문 현상에 대한 초보적인 설명과 이해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될 것이다.

    • English

      The goal is to acquire basic knowledge of all fields of astronomy through lectures and practices. The basic principles governing the various phenomena occurring in the celestial body are explained by simple physical laws and compared with observations to induce an understanding of astronomical phenomena. The course will increase the ability to provide explanations and understanding of various astronomical phenomena.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천문학 전 분야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을 강의와 실습을 통하여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한다. 천체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가지 현상을 지배하는 기본 원리를 간단한 물리 법칙으로 설명하고, 관측과 비교함으로써 천문 현상에 대한 이해를 유도한다. 이 강좌를 통해 다양한 천문 현상에 대한 초보적인 설명과 이해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될 것이다.

  • English

    The goal is to acquire basic knowledge of all fields of astronomy through lectures and practices. The basic principles governing the various phenomena occurring in the celestial body are explained by simple physical laws and compared with observations to induce an understanding of astronomical phenomena. The course will increase the ability to provide explanations and understanding of various astronomical phenomena.

닫기
2/2학기 전필 4294003
일반암석학및실험 (General Petrology and Laboratory)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94003
  • 교과목명 : 일반암석학및실험 (General Petrology and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중등 교사를 지원하는 지구과학교육과의 학생들이 암석학 전반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암석학의 기초 과목으로써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을 이해하기 위한 조직과 구성 광물 그리고 분류 및 생성 환경에 대하여 습득한다. 또한, 광물에 대해서는 현미경을 통하여 다양한 암석의 구조와 성분을 이해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a basic course in petroleum, designed to help second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 the overall physics of petroleum. Students will learn about the organization, minerals, and classification and production environment for understanding igneous, metamorphic and sedimentary rocks. In addition, for minerals, the structure and components of various rocks are understood through a microscope.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중등 교사를 지원하는 지구과학교육과의 학생들이 암석학 전반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암석학의 기초 과목으로써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을 이해하기 위한 조직과 구성 광물 그리고 분류 및 생성 환경에 대하여 습득한다. 또한, 광물에 대해서는 현미경을 통하여 다양한 암석의 구조와 성분을 이해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a basic course in petroleum, designed to help second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 the overall physics of petroleum. Students will learn about the organization, minerals, and classification and production environment for understanding igneous, metamorphic and sedimentary rocks. In addition, for minerals, the structure and components of various rocks are understood through a microscope.

닫기
2/2학기 전필 4294015
관측천문학및실습 (Observational Astronomy and Laboratory)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94015
  • 교과목명 : 관측천문학및실습 (Observational Astronomy and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중등 과정에서 필요한 천체관측 기술과 다양한 관련 지식의 습득을 통해 천체관측 역량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한다. 천문학 연구에 기본이 되는 별의 거리. 별의 크기, 별의 광도, 별의 온도 등과 같은 별의 물리량을 관측하는 새로운 이론을 학습하고, 실제 관측에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는 천체 측광학의 기초 소양을 갖추게 된다.

    • English

      The goal is to get astronomical observation capabilities through the acquisition of the observational skills and related knowledge in the secondary and high school courses. The distance of the stars, which is the basis for the study of astronomy. A new theory of observing the physical quantity of stars, such as distance, size, magnitude, and temperature of a star is learned and applied to actual observations, which is based on astronomical photometry to analyze data.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중등 과정에서 필요한 천체관측 기술과 다양한 관련 지식의 습득을 통해 천체관측 역량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한다. 천문학 연구에 기본이 되는 별의 거리. 별의 크기, 별의 광도, 별의 온도 등과 같은 별의 물리량을 관측하는 새로운 이론을 학습하고, 실제 관측에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는 천체 측광학의 기초 소양을 갖추게 된다.

  • English

    The goal is to get astronomical observation capabilities through the acquisition of the observational skills and related knowledge in the secondary and high school courses. The distance of the stars, which is the basis for the study of astronomy. A new theory of observing the physical quantity of stars, such as distance, size, magnitude, and temperature of a star is learned and applied to actual observations, which is based on astronomical photometry to analyze data.

닫기
2/2학기 전선 4294051
해양학 (Oceanography)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4051
  • 교과목명 : 해양학 (Oceanograph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자연과학에서 해양학의 학문적 특성과 해양학에 포함되는 기초적인 지식을 이해하고,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인식함으로써 예비 지구과학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해양학 내용 지식(content knowledge)을 습득한다. 또한, 이를 통해 지구과학에서 해양학이 차지하는 학문적 필요성과 그 역할에 대해서 이해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basic concept of the characteristics of oceanography in natural science and recognize the inter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acquire the oceanographic content knowledge which are necessary for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 In addition, the course teach the needs and scientific role of oceanography in earth scienc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자연과학에서 해양학의 학문적 특성과 해양학에 포함되는 기초적인 지식을 이해하고,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인식함으로써 예비 지구과학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해양학 내용 지식(content knowledge)을 습득한다. 또한, 이를 통해 지구과학에서 해양학이 차지하는 학문적 필요성과 그 역할에 대해서 이해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basic concept of the characteristics of oceanography in natural science and recognize the inter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acquire the oceanographic content knowledge which are necessary for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 In addition, the course teach the needs and scientific role of oceanography in earth science.

닫기
3/1학기 전선 4294020
지구과학현장실습2 (Practical Survey in Earth Science 2)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4020
  • 교과목명 : 지구과학현장실습2 (Practical Survey in Earth Science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지구과학과 관련된 기관(연구소, 단체, 시설 등)을 직접 방문하여 현장 학습의 기회를 가지거나, 지질 조사, 천체 관측 등 야외 실습을 통하여 실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이러한 견학 수업과 야외 활동을 기획하고 준비하는 일련의 관정을 학습함으로써 교육현장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English

      Visiting the institutions related to earth science (research labs, organizations, facilities, etc.) to have field trips and acquire practical knowledge through geological surveys and astronomical observations, and plan and prepare for field trips and outdoor activities. By learning a series of rules, students develop their ability to apply them in the field of education.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지구과학과 관련된 기관(연구소, 단체, 시설 등)을 직접 방문하여 현장 학습의 기회를 가지거나, 지질 조사, 천체 관측 등 야외 실습을 통하여 실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이러한 견학 수업과 야외 활동을 기획하고 준비하는 일련의 관정을 학습함으로써 교육현장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English

    Visiting the institutions related to earth science (research labs, organizations, facilities, etc.) to have field trips and acquire practical knowledge through geological surveys and astronomical observations, and plan and prepare for field trips and outdoor activities. By learning a series of rules, students develop their ability to apply them in the field of education.

닫기
3/1학기 전선 4294049
지구물리학 (Geophysics)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4049
  • 교과목명 : 지구물리학 (Geophys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지표에서 관찰되는 각종 지구현상에 대한 지구물리학적 접근방법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특히, 판구조론을 비롯하여 지진의특성, 지구중력 과 지자기 및 지열의특성, 그리고 지진파, 중력, 자력을 이용하는 내용을 학습한다. 학생은 지구내부구조 해석 방법들을 설명할 수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 교사로서 이에 대한 내용을 충분히 강의할 수 있다.

    • English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geophysical approach to the various phenomena observed in the earth's surface. In particular, students will learn about the earthquake characteristics including plate tectonics, geo-gravity, geomagnetic and geothermal, seismic waves, gravity, and magnetic force. Students can explain how to interpre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arth and give sufficient lectures on it as a teacher in the fiel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지표에서 관찰되는 각종 지구현상에 대한 지구물리학적 접근방법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특히, 판구조론을 비롯하여 지진의특성, 지구중력 과 지자기 및 지열의특성, 그리고 지진파, 중력, 자력을 이용하는 내용을 학습한다. 학생은 지구내부구조 해석 방법들을 설명할 수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 교사로서 이에 대한 내용을 충분히 강의할 수 있다.

  • English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geophysical approach to the various phenomena observed in the earth's surface. In particular, students will learn about the earthquake characteristics including plate tectonics, geo-gravity, geomagnetic and geothermal, seismic waves, gravity, and magnetic force. Students can explain how to interpre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arth and give sufficient lectures on it as a teacher in the field.

닫기
3/1학기 전선 4294050
실용천문학 (Practical Astronomy)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4050
  • 교과목명 : 실용천문학 (Practical Astronom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증가하고 있는 시민 천문대 및 사설 천문대에서 요구되는 망원경 오퍼레이터, 유지 관리 요원, 천문 해설사 등의 다양한 진로 탐색에 도움을 주고자함에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실용적인 천문 지식과 천체 관측법, 천문대 운영및 관리에 필요한 지식 등을 학습한다. 또한 소형 망원경을 이용한 다양한 탐구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고 실습을 통해 실무적인 능력을 익힌다.

    • English

      The goal is to assist in the exploration of various career paths, including telescope operators, maintenance personnel of an observatory, and astronomy curator, as required by the growing number of citizen and private observatories. To this end, we will learn practical astronomical knowledge, astronomical observation methods, and knowledg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observatory. It also acquires the necessary knowledge to develop and operate various exploration activities programs using small telescopes and learns practical skills through hands-on practice.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증가하고 있는 시민 천문대 및 사설 천문대에서 요구되는 망원경 오퍼레이터, 유지 관리 요원, 천문 해설사 등의 다양한 진로 탐색에 도움을 주고자함에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실용적인 천문 지식과 천체 관측법, 천문대 운영및 관리에 필요한 지식 등을 학습한다. 또한 소형 망원경을 이용한 다양한 탐구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고 실습을 통해 실무적인 능력을 익힌다.

  • English

    The goal is to assist in the exploration of various career paths, including telescope operators, maintenance personnel of an observatory, and astronomy curator, as required by the growing number of citizen and private observatories. To this end, we will learn practical astronomical knowledge, astronomical observation methods, and knowledg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observatory. It also acquires the necessary knowledge to develop and operate various exploration activities programs using small telescopes and learns practical skills through hands-on practice.

닫기
3/1학기 전선 4294052
층서지질학 (Stratigraphic Geology)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4052
  • 교과목명 : 층서지질학 (Stratigraphic Ge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퇴적암의 생성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퇴적물 조직과 퇴적구조, 현생 퇴적작용, 퇴적환경, 퇴적상에 대해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퇴적암석학적 분류와 특성, 퇴적암이 축적되는 퇴적분지의 생성과 진화과정을 살펴보고자 하며 퇴적암 지층이 쌓여 있는 순서를 다양한 층서학적 분류를 통해 어떻게 시간적으로 배열하여 대비, 해석하는 것을 학습한다. 따라서, 수강한 학생들로 하여금 교육현장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준다.

    • English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sedimentary rock, the purpose is to learn about sedimentary tissues and sedimentary structures, present-life sedimentation actions, sedimentary environment and sedimentation. In addition, we want to examine the sedimentary rock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and the process of the production and evolution of sedimentary basin in which sedimentary rock accumulates, and learn how to arrange and analyze the order in which sedimentary rock strata are stacked in a chronological order through various layered classifications. Therefore, it fosters the ability of students to apply to educational sites.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퇴적암의 생성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퇴적물 조직과 퇴적구조, 현생 퇴적작용, 퇴적환경, 퇴적상에 대해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퇴적암석학적 분류와 특성, 퇴적암이 축적되는 퇴적분지의 생성과 진화과정을 살펴보고자 하며 퇴적암 지층이 쌓여 있는 순서를 다양한 층서학적 분류를 통해 어떻게 시간적으로 배열하여 대비, 해석하는 것을 학습한다. 따라서, 수강한 학생들로 하여금 교육현장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준다.

  • English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sedimentary rock, the purpose is to learn about sedimentary tissues and sedimentary structures, present-life sedimentation actions, sedimentary environment and sedimentation. In addition, we want to examine the sedimentary rock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and the process of the production and evolution of sedimentary basin in which sedimentary rock accumulates, and learn how to arrange and analyze the order in which sedimentary rock strata are stacked in a chronological order through various layered classifications. Therefore, it fosters the ability of students to apply to educational sites.

닫기
3/1학기 전선 4294055
지구과학논리및논술 (Logic and Writing in Earth Science)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4055
  • 교과목명 : 지구과학논리및논술 (Logic and Writing in Earth Scie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수업은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이 지구과학적 논리를 이해하고, 논리적인 지구과학 글쓰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강좌이다. 과학의 본성에 기인하여 과학적 논리의 철학적 근간을 이해하고, 의사소통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글쓰기 능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한다.

    • English

      This is a lecture for preservice geo-scientific teachers to understand the geo-scientific logic and foster their geo-science writing skills. The goal is to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basis of scientific logic based on the nature of science and to increase efficient writing ability for communication.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이 수업은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이 지구과학적 논리를 이해하고, 논리적인 지구과학 글쓰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강좌이다. 과학의 본성에 기인하여 과학적 논리의 철학적 근간을 이해하고, 의사소통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글쓰기 능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한다.

  • English

    This is a lecture for preservice geo-scientific teachers to understand the geo-scientific logic and foster their geo-science writing skills. The goal is to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basis of scientific logic based on the nature of science and to increase efficient writing ability for communication.

닫기
3/1학기 전선 4294056
지구과학교육론 (Theories of Earth Science Education)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4056
  • 교과목명 : 지구과학교육론 (Theories of Earth Science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중등학교 지구과학 예비교사에게 필요한 전문적인 교수?학습 역량을 함양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교수 요목은 ‘지구과학의 본성’, ‘지구과학 철학’, ‘지구과학 학습이론’, ‘지구과학 교수?학습 방법’, ‘지구과학 학습 평가’ 영역으로 구분하며, 이론적 학습과 실제적 적용 활동을 포함한다. 지구과학 본성에서는 지구과학 지식생성, 지구과학 연구 방법, 탐구 과정 및 기능, 지구학과 과학?기술?사회의 상호 관계를 탐구하며, 지구과학 철학에서는 생명과학 지식, 과학적 방법론, 지구과학 학습 및 평가의 철학적 기초를 학습한다. 또한, 지구과학 학습이론에서는 지구과학 학습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심리철학, 학습 이론, 학습 모델에 대해 학습하며, 지구과학 교수?학습 방법에서는 지구과학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및 수업모델에 대해 학습한다. 지구과학 학습 평가에서는 학습자에 대한 다양한 평가 방법을 학습하고, 평가 문항을 구성하는 능력을 기른다. 이를 통해 예비 생물 교사에게 요구되는 학습자 이해 및 교수?학습 능력을 개발하고, 중ㆍ고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문적 지식과 교수역량 함양의 기회를 제공한다.

    • English

      This course focuses on developing professional teaching and learning competencies for pre-service secondary Earth science teachers. The content is divided into five areas: Nature of Earth sciences, Philosophy of Earth sciences, Learning Theories in Earth sciences, Earth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arth science Assessment, encompassing theoretical study and practical application activities. The Nature of Earth sciences section covers the generation of Earth science knowledge, research methods, inquiry processes and function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Earth science,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In the Philosophy of Earth sciences section, students learn about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Earth science knowledge, scientific methodology, and Earth science learning and assessment principles. In Learning Theories in Earth sciences, students study the psychological and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Earth science learning, including relevant theories and learning models. The Earth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ection introduce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instructional models tailored for Earth science education. In Earth science Assessment, students explore various methods of evaluating learners and develop skills in constructing assessment items. Through this course,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will develop essential learner understanding and teaching abilities, gaining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instructional skills needed to play a central role in secondary education setting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중등학교 지구과학 예비교사에게 필요한 전문적인 교수?학습 역량을 함양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교수 요목은 ‘지구과학의 본성’, ‘지구과학 철학’, ‘지구과학 학습이론’, ‘지구과학 교수?학습 방법’, ‘지구과학 학습 평가’ 영역으로 구분하며, 이론적 학습과 실제적 적용 활동을 포함한다. 지구과학 본성에서는 지구과학 지식생성, 지구과학 연구 방법, 탐구 과정 및 기능, 지구학과 과학?기술?사회의 상호 관계를 탐구하며, 지구과학 철학에서는 생명과학 지식, 과학적 방법론, 지구과학 학습 및 평가의 철학적 기초를 학습한다. 또한, 지구과학 학습이론에서는 지구과학 학습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심리철학, 학습 이론, 학습 모델에 대해 학습하며, 지구과학 교수?학습 방법에서는 지구과학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및 수업모델에 대해 학습한다. 지구과학 학습 평가에서는 학습자에 대한 다양한 평가 방법을 학습하고, 평가 문항을 구성하는 능력을 기른다. 이를 통해 예비 생물 교사에게 요구되는 학습자 이해 및 교수?학습 능력을 개발하고, 중ㆍ고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문적 지식과 교수역량 함양의 기회를 제공한다.

  • English

    This course focuses on developing professional teaching and learning competencies for pre-service secondary Earth science teachers. The content is divided into five areas: Nature of Earth sciences, Philosophy of Earth sciences, Learning Theories in Earth sciences, Earth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arth science Assessment, encompassing theoretical study and practical application activities. The Nature of Earth sciences section covers the generation of Earth science knowledge, research methods, inquiry processes and function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Earth science,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In the Philosophy of Earth sciences section, students learn about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Earth science knowledge, scientific methodology, and Earth science learning and assessment principles. In Learning Theories in Earth sciences, students study the psychological and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Earth science learning, including relevant theories and learning models. The Earth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ection introduce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instructional models tailored for Earth science education. In Earth science Assessment, students explore various methods of evaluating learners and develop skills in constructing assessment items. Through this course,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will develop essential learner understanding and teaching abilities, gaining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instructional skills needed to play a central role in secondary education settings.

닫기
3/2학기 전필 4294021
천체물리학개론 (Introduction to Astrophysics)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94021
  • 교과목명 : 천체물리학개론 (Introduction to Astrophys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천체의 물리적 성질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천문학적 접근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천문학적 관측 사실을 해석여 천문 현상에 내재된 물리 법칙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천문학의 분석 재료인 전자기파에 대한 복합적이고 기본적인 물리적 성질을 명확히 이해하여 이를 바탕으로 항성으로부터 오는 빛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주로 배우게 된다. 항성대기에서 일어나는 복사전달의 문제와 항성의 내부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에너지 생성 기작과 정역학 평형 방정식 등의 응용과 물리적 의미에 대하여 학습한다. 이 강좌를 통해 기초 수리 천문학의 능력을 습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English

      The goal is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laws of physics inherent in astronomical phenomena by exploring various astronomical approaches to understand the physical nature of celestial bodies and interpreting astronomical observations based on them. In particular, we learn how to analyze and interpret light from stars by clearly understanding the complex and basic physical properties of electromagnetic waves. Learn about the problems of radiative transfer occurring in the atmosphere of stars and the applications and physical meanings of energy generation mechanism and equations of hydrostatic equilibrium to underst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tars. Through this course we expect to gain the ability of basic numerical astronom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천체의 물리적 성질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천문학적 접근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천문학적 관측 사실을 해석여 천문 현상에 내재된 물리 법칙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천문학의 분석 재료인 전자기파에 대한 복합적이고 기본적인 물리적 성질을 명확히 이해하여 이를 바탕으로 항성으로부터 오는 빛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주로 배우게 된다. 항성대기에서 일어나는 복사전달의 문제와 항성의 내부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에너지 생성 기작과 정역학 평형 방정식 등의 응용과 물리적 의미에 대하여 학습한다. 이 강좌를 통해 기초 수리 천문학의 능력을 습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English

    The goal is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laws of physics inherent in astronomical phenomena by exploring various astronomical approaches to understand the physical nature of celestial bodies and interpreting astronomical observations based on them. In particular, we learn how to analyze and interpret light from stars by clearly understanding the complex and basic physical properties of electromagnetic waves. Learn about the problems of radiative transfer occurring in the atmosphere of stars and the applications and physical meanings of energy generation mechanism and equations of hydrostatic equilibrium to underst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tars. Through this course we expect to gain the ability of basic numerical astronomy.

닫기
3/2학기 전선 4294035
탐구학습자료개발실습 (Practice in Instructional Material Development)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4035
  • 교과목명 : 탐구학습자료개발실습 (Practice in Instructional Material Development)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지구과학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중등 교육과정의 탐구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목표로 다양한 형태의 학습을 수행한다. 특히 야외활동이나 견학 등 실질적인 탐구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개발을 위하여, 지구과학 전반에 관한 기본 지식을 공동학습 , 주제연구발표, 세미나 등을 통하여 습득한다. 이 강좌를 통해 현장에서의 다양한 활동 기획 등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English

      Based on basic knowledge of earth science, we develop educational material that can be applied to exploration activities of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nd carry out various forms of learning with this goal. In particular, the basic knowledge of earth science is acquired through joint study, research presentation, and seminar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terial that can help actual exploratory activities such as outdoor activities or field trips. The course is expected to facilitate the planning of various activities on a school.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지구과학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중등 교육과정의 탐구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목표로 다양한 형태의 학습을 수행한다. 특히 야외활동이나 견학 등 실질적인 탐구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개발을 위하여, 지구과학 전반에 관한 기본 지식을 공동학습 , 주제연구발표, 세미나 등을 통하여 습득한다. 이 강좌를 통해 현장에서의 다양한 활동 기획 등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English

    Based on basic knowledge of earth science, we develop educational material that can be applied to exploration activities of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nd carry out various forms of learning with this goal. In particular, the basic knowledge of earth science is acquired through joint study, research presentation, and seminar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terial that can help actual exploratory activities such as outdoor activities or field trips. The course is expected to facilitate the planning of various activities on a school.

닫기
3/2학기 전선 4294042
지구과학교재연구및지도법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in Earth Science)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4042
  • 교과목명 : 지구과학교재연구및지도법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in Earth Scie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지구과학 교육과정 내용을 파악하고, 학습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연구 자료 및 학습 이론을 활용한다. 또한 학습 자료를 재구성하고 개발하여 이를 적용해봄으로써, 중등 지구과학 수업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모의수업을 시연해본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과통합 교육과정> 운영 능력을 향상시킨다.

    • English

      Understand the geoscience curriculum content and use the relevant research and learning theory to achieve the learning goals effectively. Students will try to reconstruct and develop learning materials in order to improve the geoscience class and they will do simulation class. They can improve the operational capability (Integrated education curriculum) presented in the revised 2015 curriculum.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지구과학 교육과정 내용을 파악하고, 학습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연구 자료 및 학습 이론을 활용한다. 또한 학습 자료를 재구성하고 개발하여 이를 적용해봄으로써, 중등 지구과학 수업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모의수업을 시연해본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과통합 교육과정> 운영 능력을 향상시킨다.

  • English

    Understand the geoscience curriculum content and use the relevant research and learning theory to achieve the learning goals effectively. Students will try to reconstruct and develop learning materials in order to improve the geoscience class and they will do simulation class. They can improve the operational capability (Integrated education curriculum) presented in the revised 2015 curriculum.

닫기
3/2학기 전선 4294044
고급대기과학 (Advanced Atmospheric Science)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4044
  • 교과목명 : 고급대기과학 (Advanced Atmospheric Scie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대기 과학은 지구 및 행성, 대기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대기권에서 일어나는 각종 운동과 현상, 그리고 기후 변화를 연구하고 예측하는 학문이다. 이 교과에서는 행성 및 지구 대기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기상 현상이 나타나는 각종 메커니즘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대기권에서 일어나는 기상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기상 현상 각각의 구조를 알아보고,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대기오염과 기후변화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 교과는 궁극적으로 대기의 특성과 운동, 기상 현상과 기후 변화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내용지식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대기 관측 및 분석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Students will study about the atmospheric science, consisted of the earth and planet,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s of the atmosphere, the various movement and phenomena occured in the atmosphere, and the study and prediction of climate change.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examine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planet and the earth's atmosphere and the various mechanis in which weather phenomenon occurs. The course will explore the structure of each weather phenomenon based on weather mechanism occured in the atmosphere and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The course ultimately aims to enhance the preservice teachers' content knowledge about the atmosphere, weather phenomena, climat change and thereby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atmospheric observation and analysi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대기 과학은 지구 및 행성, 대기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대기권에서 일어나는 각종 운동과 현상, 그리고 기후 변화를 연구하고 예측하는 학문이다. 이 교과에서는 행성 및 지구 대기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기상 현상이 나타나는 각종 메커니즘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대기권에서 일어나는 기상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기상 현상 각각의 구조를 알아보고,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대기오염과 기후변화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 교과는 궁극적으로 대기의 특성과 운동, 기상 현상과 기후 변화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내용지식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대기 관측 및 분석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Students will study about the atmospheric science, consisted of the earth and planet,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s of the atmosphere, the various movement and phenomena occured in the atmosphere, and the study and prediction of climate change.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examine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planet and the earth's atmosphere and the various mechanis in which weather phenomenon occurs. The course will explore the structure of each weather phenomenon based on weather mechanism occured in the atmosphere and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The course ultimately aims to enhance the preservice teachers' content knowledge about the atmosphere, weather phenomena, climat change and thereby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atmospheric observation and analysis.

닫기
3/2학기 전선 4294048
자연재해와에너지자원 (National Disaster and Energy Resources)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4048
  • 교과목명 : 자연재해와에너지자원 (National Disaster and Energy Resource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중등교사를 지원하는 지구과학교육과의 학생들이 자연재해와 에너지자원의 전반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성된 기초 과목으로써 지진, 화산 황사, 태풍, 홍수, 수질오염, 산사태 등과 관련된 재해의 발생원인과 피해사례를 알아보고, 우리 주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에너지자원과 그 특성을 이해 한다. 이를 통해 학생은 자연재해와 에너지자원 학습에 대한 이해를 설명할 수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 교사로서 이에 대한 내용을 충분히 수업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e class is to understand the overall contents of natural disasters and energy resources by students of the earth science education department who support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s as preliminary teachers. Also, as a basic subject that is formed, the causes and damages of disasters related to earthquakes, volcanic yellow dust, typhoons, floods, water pollution, landslides, etc. are identified and the energy resources and their characteristics can be used around us. This allows students to explain their understanding of natural disasters and energy resource learning, and to fully teach them as teachers in the educational fiel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중등교사를 지원하는 지구과학교육과의 학생들이 자연재해와 에너지자원의 전반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성된 기초 과목으로써 지진, 화산 황사, 태풍, 홍수, 수질오염, 산사태 등과 관련된 재해의 발생원인과 피해사례를 알아보고, 우리 주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에너지자원과 그 특성을 이해 한다. 이를 통해 학생은 자연재해와 에너지자원 학습에 대한 이해를 설명할 수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 교사로서 이에 대한 내용을 충분히 수업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e class is to understand the overall contents of natural disasters and energy resources by students of the earth science education department who support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s as preliminary teachers. Also, as a basic subject that is formed, the causes and damages of disasters related to earthquakes, volcanic yellow dust, typhoons, floods, water pollution, landslides, etc. are identified and the energy resources and their characteristics can be used around us. This allows students to explain their understanding of natural disasters and energy resource learning, and to fully teach them as teachers in the educational field.

닫기
4/1학기 전필 4294009
야외지질학및실험 (Field Geology Practice)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94009
  • 교과목명 : 야외지질학및실험 (Field Geology Practi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야외 현장 학습에 필요한 야외지질학에 전반적인 이론 및 실습을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하여, 현장 학습 이전의 지질 조사를 위한 실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이러한 이론 및 실습을 통하여 일련의 과정을 학습한다. 따라서, 수강한 학생들로 하여금 교육현장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준다.

    • English

      Geological field trips required for the field overall aim is to learn the theory and practice in geology. The planned relocation, field trips for Geological Survey of practical knowledge and a series of courses through the theory and practical learning. Therefore, to take education to students who give them skills that can be applied at the education of high and middle school.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야외 현장 학습에 필요한 야외지질학에 전반적인 이론 및 실습을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하여, 현장 학습 이전의 지질 조사를 위한 실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이러한 이론 및 실습을 통하여 일련의 과정을 학습한다. 따라서, 수강한 학생들로 하여금 교육현장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준다.

  • English

    Geological field trips required for the field overall aim is to learn the theory and practice in geology. The planned relocation, field trips for Geological Survey of practical knowledge and a series of courses through the theory and practical learning. Therefore, to take education to students who give them skills that can be applied at the education of high and middle school.

닫기
4/1학기 전선 4294010
은하와우주 (Galaxies and Universe)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4010
  • 교과목명 : 은하와우주 (Galaxies and Univers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우리은화와 외부은하 그리고 우주의 모습과 진화에 관한 일반적인 천문지식을 보다 심도 있게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내용은 우리은하, 외부은하, 우주 등 3부분으로 나누어지며 각 분야에 대한 기본적인 소재를 다룬다. 이 강좌를 통해 우주와 천문학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천문학적 시각을 가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English

      The goal is to learn more deeply about our galaxy, external galaxies, and general knowledge about the structure and evolution of the universe. The contents are divided into three parts: Our Galaxy, external galaxy, and the Universe, and cover basic and key subjects for each field. Through this course, we hope to have a broad understanding of the universe and astronomy and astronomical perspectiv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우리은화와 외부은하 그리고 우주의 모습과 진화에 관한 일반적인 천문지식을 보다 심도 있게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내용은 우리은하, 외부은하, 우주 등 3부분으로 나누어지며 각 분야에 대한 기본적인 소재를 다룬다. 이 강좌를 통해 우주와 천문학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천문학적 시각을 가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English

    The goal is to learn more deeply about our galaxy, external galaxies, and general knowledge about the structure and evolution of the universe. The contents are divided into three parts: Our Galaxy, external galaxy, and the Universe, and cover basic and key subjects for each field. Through this course, we hope to have a broad understanding of the universe and astronomy and astronomical perspectives.

닫기
4/1학기 전선 4294043
지구과학현장실습3 (Practical Survey in Earth Science 3)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4043
  • 교과목명 : 지구과학현장실습3 (Practical Survey in Earth Science 3)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지구과학과 관련된 기관(연구소, 단체, 시설 등)을 직접 방문하여 현장 학습의 기회를 가지거나, 지질 조사, 천체 관측 등 야외 실습을 통하여 실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이러한 견학 수업과 야외 활동을 기획하고 준비하는 일련의 관정을 학습함으로써 교육현장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English

      Develop students' ability to apply the knowledge obtained from the visiting institution (e.g. laboratories, organization, facilities, etc.) to the earth science, and acquire practical knowledge through outdoor activities such as geological survey, astronomical observation, etc.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지구과학과 관련된 기관(연구소, 단체, 시설 등)을 직접 방문하여 현장 학습의 기회를 가지거나, 지질 조사, 천체 관측 등 야외 실습을 통하여 실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이러한 견학 수업과 야외 활동을 기획하고 준비하는 일련의 관정을 학습함으로써 교육현장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English

    Develop students' ability to apply the knowledge obtained from the visiting institution (e.g. laboratories, organization, facilities, etc.) to the earth science, and acquire practical knowledge through outdoor activities such as geological survey, astronomical observation, etc.

닫기
4/1학기 전필 4294053
지구과학교육연구 (Educational Research on Earth Science)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94053
  • 교과목명 : 지구과학교육연구 (Educational Research on Earth Scie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교과목에서는 지구과학 수업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탐구 수업과 과학사를 활용한 수업 전략 수립 능력을 함양함으로써 예비 지구과학 교사로서 필수적으로 갖추어야할 실제적인 내용 교수 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 이를 위해 지구과학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식의 실험 연구를 통해 과학 탐구 기능과 방법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론을 다루며, 지구과학의 분야별 역사를 학습함으로써 지구과학의 본성을 이해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지구과학 실험과 과학사를 활용한 수업을 설계할 수 있고 이를 타당하고 신뢰로운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English

      The goal of the course is to develop the actu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the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 The PCK can be fostered by developing a class strategy using history of science and explore the teaching strategy skill to solve a variety of problems that may occur in earth science class. Accordingly, the course teach the methodology to improve scientific inquiry and method for various type of experiment that can be used in the earth science class and teach the nature of science by learning the history of earth science. The course also develop the ability to design earth science experiment class and history of science and make the reliable assessment for them.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이 교과목에서는 지구과학 수업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탐구 수업과 과학사를 활용한 수업 전략 수립 능력을 함양함으로써 예비 지구과학 교사로서 필수적으로 갖추어야할 실제적인 내용 교수 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 이를 위해 지구과학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식의 실험 연구를 통해 과학 탐구 기능과 방법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론을 다루며, 지구과학의 분야별 역사를 학습함으로써 지구과학의 본성을 이해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지구과학 실험과 과학사를 활용한 수업을 설계할 수 있고 이를 타당하고 신뢰로운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English

    The goal of the course is to develop the actu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the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 The PCK can be fostered by developing a class strategy using history of science and explore the teaching strategy skill to solve a variety of problems that may occur in earth science class. Accordingly, the course teach the methodology to improve scientific inquiry and method for various type of experiment that can be used in the earth science class and teach the nature of science by learning the history of earth science. The course also develop the ability to design earth science experiment class and history of science and make the reliable assessment for them.

닫기
4/2학기 전선 4294037
지구과학교육특강 (Special Topics in Earth Science Education)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4037
  • 교과목명 : 지구과학교육특강 (Special Topics in Earth Science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지구과학 전공으로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교과교육학과 교육내용학 관련하여 출제 경향을 분석하고, 기출 문제 해설을 통해 1차 및 2차 임용고사 경쟁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지구과학 전공 영역별로 스터디를 통해 자료집을 개발한다.

    • English

      Education regarding curriculum and teaching content analysis studies the questions for the preservice teachers to prepare the teacher examination in earth sciences major, and to improve competitiveness of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examination test. In addition, Kit developed by a study by the Earth major area.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지구과학 전공으로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교과교육학과 교육내용학 관련하여 출제 경향을 분석하고, 기출 문제 해설을 통해 1차 및 2차 임용고사 경쟁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지구과학 전공 영역별로 스터디를 통해 자료집을 개발한다.

  • English

    Education regarding curriculum and teaching content analysis studies the questions for the preservice teachers to prepare the teacher examination in earth sciences major, and to improve competitiveness of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examination test. In addition, Kit developed by a study by the Earth major area.

닫기
4/2학기 전선 4294054
지구환경과학 (Earth and Environment Science)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4054
  • 교과목명 : 지구환경과학 (Earth and Environment Scie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중고등 교사를 지원하는 지구과학교육과 학생들이 지구환경과학의 기본 원리, 환경 지질학의 문제와 해결법을 학습한다. 또한, 이에 필요한 지질학적 정보, 지질학적 작용과 생태계 사이 연계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이를 통해 학생은 지구환경과학 학습에 대한 이해를 설명할 수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 교사로서 이에 대한 내용을 충분히 수업할 수 있다.

    • English

      As a preliminary teacher, students in the geo-science education department, which supports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learn basic principles of earth environmental science, problems and solutions of environmental geology. It also acquires the necessary geological information, knowledge of the link between geological action and ecosystem. This allows students to explain their understanding of earth environmental science learning, and to fully teach them as teachers in the educational fiel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중고등 교사를 지원하는 지구과학교육과 학생들이 지구환경과학의 기본 원리, 환경 지질학의 문제와 해결법을 학습한다. 또한, 이에 필요한 지질학적 정보, 지질학적 작용과 생태계 사이 연계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이를 통해 학생은 지구환경과학 학습에 대한 이해를 설명할 수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 교사로서 이에 대한 내용을 충분히 수업할 수 있다.

  • English

    As a preliminary teacher, students in the geo-science education department, which supports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learn basic principles of earth environmental science, problems and solutions of environmental geology. It also acquires the necessary geological information, knowledge of the link between geological action and ecosystem. This allows students to explain their understanding of earth environmental science learning, and to fully teach them as teachers in the educational field.

닫기
  • 국문

  • English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