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안내

과학교육학부

교과 과정 검색 조건
교과과정
학년/학기 이수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강의 실습(설계) 교과목개요
0/1학기 균형 1230046
시간과인간그리고우주 (Time, Human and Universe)
  • 학년/학기 : 0/1학기
  • 이수구분 : 균형
  • 교과목번호 : 1230046
  • 교과목명 : 시간과인간그리고우주 (Time, Human and Univers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교과목은 시간에 관한 모든 것을 다루며, 크게 3부(우주의 시간, 지구의 시간, 인간의 시간)로 구성된다. 1부와 2부에서는 우리가 사는 세상에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물리적 시간을 자연과학적 관점에서 고찰하며, 3부에서는 인간이 인식하는 주관적인 시간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고찰하며 이를 바탕으로 시간적 인간(Homo Temporalis)으로서 개개인의 삶의 의미와 방향성을 통찰해 보는 기회를 가진다.

    • English

      This subject covers everything about time and is largely composed of three parts (space time, earth time, and human time). Part 1 and part 2 examine the physical time that objectively exists in the world we live in from a natural scientific perspective, and part 3 examines the subjective time perceived by humans from a humanities perspective, and based on this, we have an opportunity to insight into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individual life as time humans(Homo Temporalis).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이 교과목은 시간에 관한 모든 것을 다루며, 크게 3부(우주의 시간, 지구의 시간, 인간의 시간)로 구성된다. 1부와 2부에서는 우리가 사는 세상에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물리적 시간을 자연과학적 관점에서 고찰하며, 3부에서는 인간이 인식하는 주관적인 시간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고찰하며 이를 바탕으로 시간적 인간(Homo Temporalis)으로서 개개인의 삶의 의미와 방향성을 통찰해 보는 기회를 가진다.

  • English

    This subject covers everything about time and is largely composed of three parts (space time, earth time, and human time). Part 1 and part 2 examine the physical time that objectively exists in the world we live in from a natural scientific perspective, and part 3 examines the subjective time perceived by humans from a humanities perspective, and based on this, we have an opportunity to insight into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individual life as time humans(Homo Temporalis).

닫기
1/1학기 전선 4290030
일반물리학1 (General Physics 1)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0030
  • 교과목명 : 일반물리학1 (General Physics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 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 내용과 연계하여 논리적인 표현으로의 물리학 원리와 기본 개념을 익히고, 실제 생활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물리학을 이용하여 설명해 봄으로서 자연을 이해하는 방법을 배운다. 이번 학기에는 뉴턴 역학과 유체역학, 열과 열역학 현상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와 그 물리 현상들의 근본 원리를 공부한다

    • English

      Learn to understand nature by learning the principles and basic concepts of physics as a logical expression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Explaining the phenomena that occur in real life using physics. This semester, students will study Newtonian mechanics, hydrodynamics,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rmal and thermodynamic phenomena and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ir physical phenomena.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예비 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 내용과 연계하여 논리적인 표현으로의 물리학 원리와 기본 개념을 익히고, 실제 생활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물리학을 이용하여 설명해 봄으로서 자연을 이해하는 방법을 배운다. 이번 학기에는 뉴턴 역학과 유체역학, 열과 열역학 현상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와 그 물리 현상들의 근본 원리를 공부한다

  • English

    Learn to understand nature by learning the principles and basic concepts of physics as a logical expression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Explaining the phenomena that occur in real life using physics. This semester, students will study Newtonian mechanics, hydrodynamics,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rmal and thermodynamic phenomena and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ir physical phenomena.

닫기
1/1학기 전선 4290032
일반화학1 (General Chemistry 1)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0032
  • 교과목명 : 일반화학1 (General Chemistry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화학이 실생활 속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현상들을 화학의 기본원리와 연결시킴으로서 화학지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터득하게 하며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응용능력을 갖도록 한다.

    • English

      Associating chemistry with the basic principles of chemistry to recognize, master the importance of chemical knowledge and have the application ability to use it in real lif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화학이 실생활 속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현상들을 화학의 기본원리와 연결시킴으로서 화학지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터득하게 하며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응용능력을 갖도록 한다.

  • English

    Associating chemistry with the basic principles of chemistry to recognize, master the importance of chemical knowledge and have the application ability to use it in real life.

닫기
1/1학기 전선 4290034
일반생물학1 (General Biology 1)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0034
  • 교과목명 : 일반생물학1 (General Biology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생물학공부의 기초를 다루는 것으로, 생화학, 세포학, 유전학, 분자생물학, 진화학등과 관련된 내용을 강의를 통하여 학습하게 된다. 중등 교육에서 과학 및 생물 교사로서의 기초 지식을 습득하는 과목이 된다.

    • English

      Learn the contents related to biochemistry, cell science, genetics, molecular biology, evolution, through the lecture. It is a subject that learns basic knowledge as a science and biology teacher in secondary educ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생물학공부의 기초를 다루는 것으로, 생화학, 세포학, 유전학, 분자생물학, 진화학등과 관련된 내용을 강의를 통하여 학습하게 된다. 중등 교육에서 과학 및 생물 교사로서의 기초 지식을 습득하는 과목이 된다.

  • English

    Learn the contents related to biochemistry, cell science, genetics, molecular biology, evolution, through the lecture. It is a subject that learns basic knowledge as a science and biology teacher in secondary education.

닫기
1/1학기 전선 4290036
일반지구과학1 (General Earth Science 1)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0036
  • 교과목명 : 일반지구과학1 (General Earth Science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일반지구과학 1은 강의 및 토의를 통해 이론을 습득하며, 지구과학에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구시스템과 지질학의 기본적인 내용 및 자연재해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학습한다. 학생은 지구과학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으며, 현실 상황에 응용될 수 있는 사례들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다.

    • English

      General Earth Science 1 learns theories through lectures and discussions, and aims to understand the general content of earth science. Learn about the basic contents of earth system sciences and geology and natural disasters. Students can understand and explain the basic content of earth science and fully apply examples that can be applied to real-world situation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일반지구과학 1은 강의 및 토의를 통해 이론을 습득하며, 지구과학에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구시스템과 지질학의 기본적인 내용 및 자연재해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학습한다. 학생은 지구과학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으며, 현실 상황에 응용될 수 있는 사례들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다.

  • English

    General Earth Science 1 learns theories through lectures and discussions, and aims to understand the general content of earth science. Learn about the basic contents of earth system sciences and geology and natural disasters. Students can understand and explain the basic content of earth science and fully apply examples that can be applied to real-world situations.

닫기
1/1학기 전선 4290038
일반물리학실험 (General Physics Laboratory)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0038
  • 교과목명 : 일반물리학실험 (General Physics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실험교육과 연계하여 일반물리학에서 배운 기본 개념과 법칙을 실험을 통해서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실험기술을 익히며, 실험보고서 작성법을 학습하여 물리현상을 기술하는 물리논문작성법을 익힌다.

    • English

      Learn the basic concepts and laws learned in general physics. Relating with the experimental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are comprehensively understood through experiments, mastered experimental techniques, and learned how to prepare experimental reports and learned the physical essay writing methods to describe physical phenomena.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실험교육과 연계하여 일반물리학에서 배운 기본 개념과 법칙을 실험을 통해서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실험기술을 익히며, 실험보고서 작성법을 학습하여 물리현상을 기술하는 물리논문작성법을 익힌다.

  • English

    Learn the basic concepts and laws learned in general physics. Relating with the experimental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are comprehensively understood through experiments, mastered experimental techniques, and learned how to prepare experimental reports and learned the physical essay writing methods to describe physical phenomena.

닫기
1/1학기 전선 4290041
일반지구과학실험 (General Earth Science Laboratory)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0041
  • 교과목명 : 일반지구과학실험 (General Earth Science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에게 필요한 중등 교육과정상의 실험 실습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강좌에서는 지구과학 관련된 모든 기초실험을 중심으로 실습위주로 이루어진다. 지구의 기권, 지권, 수권, 외권(태양계, 항성, 은하 및 우주)과 관련된 일반적인 원리를 실험 및 실습을 통하여 습득하고, 탐구능력을 신장시켜 현장에 접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English

      The goal is to develop the ability to smoothly carry out the experiments in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required for preliminary teachers. This course focuses on all basic experiments related to earth science. The general principles associated with atmosphere, hydrosphere, lithosphere, and exosphere(e.g. solar system, stars, galaxies, and universes) of the Earth will be acquired through experiments and practices, and will be able to develop practical skills on the more complicated experiments.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에게 필요한 중등 교육과정상의 실험 실습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강좌에서는 지구과학 관련된 모든 기초실험을 중심으로 실습위주로 이루어진다. 지구의 기권, 지권, 수권, 외권(태양계, 항성, 은하 및 우주)과 관련된 일반적인 원리를 실험 및 실습을 통하여 습득하고, 탐구능력을 신장시켜 현장에 접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English

    The goal is to develop the ability to smoothly carry out the experiments in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required for preliminary teachers. This course focuses on all basic experiments related to earth science. The general principles associated with atmosphere, hydrosphere, lithosphere, and exosphere(e.g. solar system, stars, galaxies, and universes) of the Earth will be acquired through experiments and practices, and will be able to develop practical skills on the more complicated experiments.

닫기
1/1학기 전선 4290991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0991
  • 교과목명 :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진로탐색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진로목표를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This is a subject in which students can think about and explore career within major chosen. It deals with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majors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and exploring, setting, and preparing career goals.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진로탐색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진로목표를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This is a subject in which students can think about and explore career within major chosen. It deals with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majors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and exploring, setting, and preparing career goals.

닫기
1/2학기 전선 4290031
일반물리학2 (General Physics 2)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0031
  • 교과목명 : 일반물리학2 (General Physics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 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 내용과 연계하여 논리적인 표현으로의 물리학 원리와 기본 개념을 익히고, 진동과 파동, 전기와 자기, 광학 현상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 이해를 바탕으로 관련된 실제 물리 현상을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과학교사로서 관련 학생들의 오개념을 이해하고 수업설계에 적용할 수 있다.

    • English

      Learn the laws of physics and the basic concept of a logical expression in associating with secondary schools learning content, to describe the actual physical phenomena involved, based on the overall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vibrations and waves, electricity and magnetism, optical phenomena do.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misconceptions related to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as apply to instructional design.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예비 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 내용과 연계하여 논리적인 표현으로의 물리학 원리와 기본 개념을 익히고, 진동과 파동, 전기와 자기, 광학 현상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 이해를 바탕으로 관련된 실제 물리 현상을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과학교사로서 관련 학생들의 오개념을 이해하고 수업설계에 적용할 수 있다.

  • English

    Learn the laws of physics and the basic concept of a logical expression in associating with secondary schools learning content, to describe the actual physical phenomena involved, based on the overall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vibrations and waves, electricity and magnetism, optical phenomena do.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misconceptions related to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as apply to instructional design.

닫기
1/2학기 전선 4290033
일반화학2 (General Chemistry 2)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0033
  • 교과목명 : 일반화학2 (General Chemistry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화학의 기본개념을 익히며 이를 설명 할 수 있다. 기체, 액체, 고체, 용액의 거시적인 성질을 물질의 분자수준의 미시적관점으로 살펴본다. 나아가 물질의 반응에서의 평형 및 열역학적 성질, 전기 화학적 성질에 대한 원리를 배운다.

    • English

      Basic concepts of chemistry relating with content in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sider the gas, liquid, solid, and solution's involuntary view of the molecular level of the substance.Furthermore, the principles of equilibrium and thermodynamic properties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in the reactions of matter are learned."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화학의 기본개념을 익히며 이를 설명 할 수 있다. 기체, 액체, 고체, 용액의 거시적인 성질을 물질의 분자수준의 미시적관점으로 살펴본다. 나아가 물질의 반응에서의 평형 및 열역학적 성질, 전기 화학적 성질에 대한 원리를 배운다.

  • English

    Basic concepts of chemistry relating with content in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sider the gas, liquid, solid, and solution's involuntary view of the molecular level of the substance.Furthermore, the principles of equilibrium and thermodynamic properties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in the reactions of matter are learned."

닫기
1/2학기 전선 4290035
일반생물학2 (General Biology 2)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0035
  • 교과목명 : 일반생물학2 (General Biology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근본 생명현상 즉 유전, 생식 등의 현상 등을 이해하고 이런 현상들 속에 숨어 있는 기본 원리를 탐구한다. 아울러 생체물질, 세포구조, 생물에너지 등의 기본개념과 원리를 이해하여 중등교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생물학적 지식과 소양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Understanding fundamental life phenomena, such as genetic and reproductive phenomena, and explore the basic principles hidden in these phenomena. In addition, the goal is to understand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of biomaterials, cellular structure, and bioenergy and to have basic biological knowledge and sophistication that should be available as secondary school teachers.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근본 생명현상 즉 유전, 생식 등의 현상 등을 이해하고 이런 현상들 속에 숨어 있는 기본 원리를 탐구한다. 아울러 생체물질, 세포구조, 생물에너지 등의 기본개념과 원리를 이해하여 중등교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생물학적 지식과 소양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Understanding fundamental life phenomena, such as genetic and reproductive phenomena, and explore the basic principles hidden in these phenomena. In addition, the goal is to understand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of biomaterials, cellular structure, and bioenergy and to have basic biological knowledge and sophistication that should be available as secondary school teachers.

닫기
1/2학기 전선 4290037
일반지구과학2 (General Earth Science 2)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0037
  • 교과목명 : 일반지구과학2 (General Earth Science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 과학을 가르치는 교사를 위하여 지구과학과 관련된 주제에 대한 기초적이고 핵심 내용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강좌에서는 지구과학분야 중에서 천문학에 대한 기초 개념을 중심으로 다룬다. 태양계, 항성, 은하와 우주 등에 내용이 강의 핵심 주제이다. 본 강좌에서는 과학교육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지구과학의 여러 분야를 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폭넓은 지식을 습득하게 한다.

    • English

      For preservice teachers who will teach secondary science, the goal is to learn basic and key content on topics related to earth science. The course focuses on basic concepts of Astronomy among the fields of earth science. The contents included the solar system, stars, galaxies and universe are the key subjects of the course. In this course, students have access to a wide range of areas of earth science.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 과학을 가르치는 교사를 위하여 지구과학과 관련된 주제에 대한 기초적이고 핵심 내용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강좌에서는 지구과학분야 중에서 천문학에 대한 기초 개념을 중심으로 다룬다. 태양계, 항성, 은하와 우주 등에 내용이 강의 핵심 주제이다. 본 강좌에서는 과학교육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지구과학의 여러 분야를 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폭넓은 지식을 습득하게 한다.

  • English

    For preservice teachers who will teach secondary science, the goal is to learn basic and key content on topics related to earth science. The course focuses on basic concepts of Astronomy among the fields of earth science. The contents included the solar system, stars, galaxies and universe are the key subjects of the course. In this course, students have access to a wide range of areas of earth science.

닫기
1/2학기 전선 4290039
일반화학실험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0039
  • 교과목명 : 일반화학실험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중등학교 실험교육과 연계하여 중등 예비교사들이 화학이 실생활속에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현상들을 화학의 기본 원리와 연결시킴으로서 화학지식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또한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실험들을 경험함으로써 적용능력을 갖게한다.

    • English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hemical knowledge by linking phenomena closely related to real life to the basic principles of chemistry, and also gain the ability to apply by experiencing experiments that can be used in real life.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중등학교 실험교육과 연계하여 중등 예비교사들이 화학이 실생활속에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현상들을 화학의 기본 원리와 연결시킴으로서 화학지식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또한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실험들을 경험함으로써 적용능력을 갖게한다.

  • English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hemical knowledge by linking phenomena closely related to real life to the basic principles of chemistry, and also gain the ability to apply by experiencing experiments that can be used in real life.

닫기
1/2학기 전선 4290040
일반생물학실험 (General Biology Laboratory)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0040
  • 교과목명 : 일반생물학실험 (General Biology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생물학은 다양한 실험으로 생성된 지식들의 종합체이기 때문에 실험을 통해서만 생물학의 본성을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예비생물교사는 생물실험을 능숙하게 할 수 있어야 중등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다. 일반생물학실험 강좌는 중등생물교육의 교과서에서 소개되는 대표적인 기초 생물실험을 실제 준비하여 실행해 보고, 보고서를 작성함으로서 생물학 지식의 본성을 이해하고 예비교사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as a preliminary teacher, biology is an aggregate of knowledge generated by various experiments, so only through experiments can one understand the nature of biology. In particular, a prospective biology teacher must be able to be proficient in biological experiments to guide secondary students. The General Biology Experiment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biological knowledge and foster qualifications as a pre-teacher by actually preparing and conducting representative basic biological experiments introduced in the textbooks of secondary biology education.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생물학은 다양한 실험으로 생성된 지식들의 종합체이기 때문에 실험을 통해서만 생물학의 본성을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예비생물교사는 생물실험을 능숙하게 할 수 있어야 중등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다. 일반생물학실험 강좌는 중등생물교육의 교과서에서 소개되는 대표적인 기초 생물실험을 실제 준비하여 실행해 보고, 보고서를 작성함으로서 생물학 지식의 본성을 이해하고 예비교사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as a preliminary teacher, biology is an aggregate of knowledge generated by various experiments, so only through experiments can one understand the nature of biology. In particular, a prospective biology teacher must be able to be proficient in biological experiments to guide secondary students. The General Biology Experiment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biological knowledge and foster qualifications as a pre-teacher by actually preparing and conducting representative basic biological experiments introduced in the textbooks of secondary biology education.

닫기
1/2학기 전선 4290042
수학과과학 (Mathematics and Science)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0042
  • 교과목명 : 수학과과학 (Mathematics and Scie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에서는 미적분학과 이산수학의 지식을 기반으로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 자연과학에서 수학이 활용되는 사례를 공부한다.

    • English

      In this course, we will study examples of the use of mathematics in natural sciences such as physics, chemistry, and biology based on the knowledge of calculus and discrete mathematic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에서는 미적분학과 이산수학의 지식을 기반으로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 자연과학에서 수학이 활용되는 사례를 공부한다.

  • English

    In this course, we will study examples of the use of mathematics in natural sciences such as physics, chemistry, and biology based on the knowledge of calculus and discrete mathematics.

닫기
1/2학기 전선 4290047
수리탐구물리1 (Mathematical Physics 1)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0047
  • 교과목명 : 수리탐구물리1 (Mathematical Physics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물리학을 전공하려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수학체계를 가능한 넓고 쉬우며 이해하기 쉽도록 배려한다. 물리학과 수학의연대 가능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해 간다. 벡터, 미분방정식, 푸리에 방법, 편미분 방정식, 변수분리, 수치해석법, 행렬, 텐서, 복소수 등을 학습한다.

    • English

      The students who want to major in physics are given consideration to make the required math system as wideand easy to understand as possible. It conceptualizes the possibility of a combination of physics and mathematics. Students will learn vector, differential equation, Fourier method,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 variable separation, numerical analysis method, matrix, tensor, multiple number, etc.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물리학을 전공하려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수학체계를 가능한 넓고 쉬우며 이해하기 쉽도록 배려한다. 물리학과 수학의연대 가능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해 간다. 벡터, 미분방정식, 푸리에 방법, 편미분 방정식, 변수분리, 수치해석법, 행렬, 텐서, 복소수 등을 학습한다.

  • English

    The students who want to major in physics are given consideration to make the required math system as wideand easy to understand as possible. It conceptualizes the possibility of a combination of physics and mathematics. Students will learn vector, differential equation, Fourier method,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 variable separation, numerical analysis method, matrix, tensor, multiple number, etc.

닫기
2/2학기 전필 4290009
과학교육론 (Theories of Science Education)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90009
  • 교과목명 : 과학교육론 (Theories of Science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과학교육론 과목의 내용은 크게 과학철학, 과학의 본성, 심리철학, 학습심리학의 네 영역으로 나뉜다. 과학철학에서는 과학지식, 과학적 방법, 과학학습, 과학교육 평가 등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과학철학 사상의 본성과 그 변화를 다루며, 과학의 본성에서는 과학지식, 과학적 연구 방법, 과학적 탐구 과정과 기능, 과학자, 과학ㆍ기술ㆍ사회의 관계 등을 다룬다. 한편 심리철학과 학습심리학에서는 과학학습 이론의 근거가 되는 심리철학 사상과 과학학습의 이론 그리고 학습의 과정을 기술하는 모형을 다룬다. 이러한 영역의 지식과 기능은 중ㆍ고등학교 과학교사가 획득해야 할 전문적 지식(professional knowledge)의 기본적 구성요소이다.

    • English

      As a presearvice teacher, the contents of the subject of science education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are largely divided into four areas: science philosophy, nature of science, psychological philosophy and learning psychology. The science philosophy deals with the nature and the change of scientific philosophy thought which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cientific knowledge, scientific method, scientific learning, scientific education evaluation, and the nature of science deals with scientific knowledge, scientific research methods, scientific research processes and functions, scientists, science, technology, and social relations. Meanwhile, psychological philosophy and learning psychology deal with models that describe the psychological philosophy thought, the theory of scientific learning and the process of learning that serves as the basis for scientific learning theory. The knowledge and function of these areas are fundamental components of professional knowledge that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should acquir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과학교육론 과목의 내용은 크게 과학철학, 과학의 본성, 심리철학, 학습심리학의 네 영역으로 나뉜다. 과학철학에서는 과학지식, 과학적 방법, 과학학습, 과학교육 평가 등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과학철학 사상의 본성과 그 변화를 다루며, 과학의 본성에서는 과학지식, 과학적 연구 방법, 과학적 탐구 과정과 기능, 과학자, 과학ㆍ기술ㆍ사회의 관계 등을 다룬다. 한편 심리철학과 학습심리학에서는 과학학습 이론의 근거가 되는 심리철학 사상과 과학학습의 이론 그리고 학습의 과정을 기술하는 모형을 다룬다. 이러한 영역의 지식과 기능은 중ㆍ고등학교 과학교사가 획득해야 할 전문적 지식(professional knowledge)의 기본적 구성요소이다.

  • English

    As a presearvice teacher, the contents of the subject of science education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are largely divided into four areas: science philosophy, nature of science, psychological philosophy and learning psychology. The science philosophy deals with the nature and the change of scientific philosophy thought which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cientific knowledge, scientific method, scientific learning, scientific education evaluation, and the nature of science deals with scientific knowledge, scientific research methods, scientific research processes and functions, scientists, science, technology, and social relations. Meanwhile, psychological philosophy and learning psychology deal with models that describe the psychological philosophy thought, the theory of scientific learning and the process of learning that serves as the basis for scientific learning theory. The knowledge and function of these areas are fundamental components of professional knowledge that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should acquire.

닫기
3/1학기 전선 4290046
과학교재연구및지도법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in Science)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0046
  • 교과목명 : 과학교재연구및지도법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in Scie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들이 교재연구 및 지도법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배우는 과목으로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다. 1. 과학본성에따라교수-학습방법을효과적으로적용할수있는기능을신장시킨다. 2. 과학교수-학습의이론을과학교육현장에서적용할수있는능력을향상시킨다. 3. 과학교수-학습방법과전략기능을함양시킨다.

    • English

      Preservice teachers learn the theory and practice of teaching materials research and teaching methods, which have the following goals: 1. In accordance with the nature of science, the teaching-learning method is enhanced to effectively apply. 2. Improves the ability to apply science professor-study theory in the field of education. 3. Science teaching - Encourage learning methods and strategic function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예비교사들이 교재연구 및 지도법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배우는 과목으로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다. 1. 과학본성에따라교수-학습방법을효과적으로적용할수있는기능을신장시킨다. 2. 과학교수-학습의이론을과학교육현장에서적용할수있는능력을향상시킨다. 3. 과학교수-학습방법과전략기능을함양시킨다.

  • English

    Preservice teachers learn the theory and practice of teaching materials research and teaching methods, which have the following goals: 1. In accordance with the nature of science, the teaching-learning method is enhanced to effectively apply. 2. Improves the ability to apply science professor-study theory in the field of education. 3. Science teaching - Encourage learning methods and strategic functions.

닫기
3/2학기 전선 4290043
멀티미디어수학과학교육 (Multimedia in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0043
  • 교과목명 : 멀티미디어수학과학교육 (Multimedia in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학, 과학교육에 필요한 멀티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창의력 증진을 위한교육자료를 개발한다 또한 자료개발을 통하여 과학개념 및 지도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리를 한다.

    • English

      Develop the ability to utilize multimedia to promote math and science education;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to enhance creativity using multimedia. It also provides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rrangement of scientific concepts and maps through the development of data."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수학, 과학교육에 필요한 멀티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창의력 증진을 위한교육자료를 개발한다 또한 자료개발을 통하여 과학개념 및 지도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리를 한다.

  • English

    Develop the ability to utilize multimedia to promote math and science education;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to enhance creativity using multimedia. It also provides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rrangement of scientific concepts and maps through the development of data."

닫기
3/2학기 전선 4290992
직업선택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0992
  • 교과목명 : 직업선택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직업선택과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진로목표를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This is a subject in which the career path is contemplated and explored within students' chosen major. It deals with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majors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and exploring, setting, and preparing career goals.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직업선택과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진로목표를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This is a subject in which the career path is contemplated and explored within students' chosen major. It deals with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majors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and exploring, setting, and preparing career goals.

닫기
4/2학기 전선 4290045
통합과학교육의이론과실제 (Theory and Practice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90045
  • 교과목명 : 통합과학교육의이론과실제 (Theory and Practice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통합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는 과학교육론, 과학교재연구 및 지도법, 각 전공별 교재연구 및 지도법을 수강한 공통과학 복수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통합과학의 본성 및 통합교육이 다른 개별 교과 교육과의 차별적 특징을 반영한 통합과학교재를 개발하고 지도하는 방법을 탐구하는 과목이다.

    • English

      The theory and practice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are subjects in which students in multiple majors in common science who take science education theory, science teaching materials research and guidance methods, and the study and guidance methods of each major are explored in developing and guiding integrated science materials that reflect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science and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education from the individual curriculum.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통합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는 과학교육론, 과학교재연구 및 지도법, 각 전공별 교재연구 및 지도법을 수강한 공통과학 복수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통합과학의 본성 및 통합교육이 다른 개별 교과 교육과의 차별적 특징을 반영한 통합과학교재를 개발하고 지도하는 방법을 탐구하는 과목이다.

  • English

    The theory and practice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are subjects in which students in multiple majors in common science who take science education theory, science teaching materials research and guidance methods, and the study and guidance methods of each major are explored in developing and guiding integrated science materials that reflect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science and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education from the individual curriculum.

닫기
  • 국문

  • English

닫기